뉴스홈 > 게임정보 > 뉴스

코로나19 시대 글로벌 콘텐츠 시장 변화 모색, 콘진원 '해외비즈니스센터 코로나19 특집호' 발간

2020년10월20일 15시38분
게임포커스 김성렬 기자 (azoth@gamefocus.co.kr)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김영준, 이하 콘진원)이 해외비즈니스 센터별로 코로나19에 따른 현지 콘텐츠 시장 환경 및 소비 트렌드의 변화를 조사한 '2020년 해외비즈니스센터 코로나19 특집호'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콘진원 국내 최초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콘텐츠·미디어 시장 동향분석'발간 
국내 최초로 코로나19와 관련된 해외 주요국 콘텐츠 시장의 동향을 조사한 이번 '코로나19 특집호'는 콘진원이 해외거점을 운영 중인 미국, 중국, 일본, 유럽, 인도네시아, UAE, 베트남 등 7개 국가에 필리핀과 싱가포르까지 총 9개국의 보고서로 구성되어 있다. 

 

보고서는 해당 국가별로 코로나19 이후 콘텐츠시장 변화, 소비 트렌드 변화, 문화콘텐츠 관련 각국 정부정책을 비롯, K-콘텐츠 해외 진출을 위한 시사점 및 대응방안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산업 종사자들이 코로나19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해외 콘텐츠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이후 해외는 온라인 콘텐츠 강세, 콘텐츠 소비 트렌드 변화에 주목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해 우리나라의 '집콕' 문화처럼 미국의 '스테이앳홈(StayatHome)', 중국의 '택남택녀(宅男宅女)', 일본의 '스고모리(巣ごもり消費)', 프랑스의'퀼튀르쉐누(Culturecheznous)'등 외출을 자제하고 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문화가 각국에서도 본격적으로 펼쳐지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이 변화하면서 대표적인 비대면 콘텐츠라고 할 수 있는 게임과 OTT 영상콘텐츠, SNS 등 온라인 콘텐츠 소비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공통점을 보였다.

 

이에 공연장, 영화관 등 오프라인 중심 콘텐츠 산업에는 위기가 찾아왔으나, 많은 콘텐츠 기업들이 비대면 소비패턴에 대응하기 위해 빠르게 온라인 콘텐츠로 서비스를 전환했고, 각국의 정부 또한 온라인 콘텐츠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보고서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K-팝과 K-드라마 수요 확대 등  국내 콘텐츠의 해외 진출 기회가 있음을 언급하면서도, 각국 정부 정책과 기술 환경에 따른 제한을 면밀하게 고려한 전략을 수립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장기화로 비대면 콘텐츠 소비가 불기피한 시기에 해외 시장별 소비 트렌드를 다시금 파악하고, 현지 상황에 맞는 방향성을 재설정하여 시장진출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콘진원 해외사업본부 박승룡 본부장은 "이번 보고서가 콘텐츠 산업 종사자들이 코로나19 때문에 급변하고 있는 해외 콘텐츠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새로운 해외시장 진출방향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콘진원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해외 콘텐츠 시장 정보를 발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 원문은 콘텐츠수출마케팅플랫폼 웰콘과 콘진원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넷마블, 'RF 온라인' IP 웹툰 '배드 본 블...
SNK '아레나 SNK 스튜디오' 설립하고 본격...
드림어스컴퍼니, 글로벌 VC 굿워터캐피탈 2...
김동현과 함께 100층 돌파에 도전하라! 37G...
반다이남코 '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
kakao LINE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목록으로 스크랩하기
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숨기기
댓글 0 예비 베플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이 없습니다.
1

많이 본 뉴스

우리기술투자, 두나무 송치형 네이버파이낸셜 최대주주 등극 가...
네오셈, 엔비디아 인텔에 50억달러 투자 차세대칩 공동 개발... ...
다날, 네이버 업비트 인수로 스테이블코인 본격화... 결제시스템...
헥토파이낸셜,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인프라 공급 부각... 네이버...
어보브반도체, 삼성전자 SiC 전력반도체 상용화 시동... 삼성전...
오버테이크(Overtake) 'TAKE' 토큰 글로벌 동시 상장으로 유통 ...
풀무원, '금값' 김값 가격 폭등에 정부 김 비축 제도 추진... 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