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로니스는 30일, 데이터 손실의 원인 및 관리 현황을 조사한 ‘데이터 관리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아크로니스에 따르면 개인 및 기업의 데이터 손실의 원인으로 하드웨어 고장 40%, 소프트웨어 문제 13%, 컴퓨터 분실 9%, 바이러스 감염 6%로 나타났으며 자연재해로 인한 데이터 손실도 3%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드 드라이브의 평균 기대 수명은 약 6년이지만 실제로는 5.1%가 1년 내, 11.8%가 3년 내 고장이 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수로 인한 데이터 손실은 랩톱을 떨어뜨리거나 물을 쏟는 등 사람의 실수에 의해 발생한 손실이 이에 해당되며 이러한 실수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고장을 일으켜 데이터 손실 가능성을 높인다. 전세계적으로 53초 마다 한 번씩 컴퓨터가 분실되고 있고 그 중 97%는 되찾지 못하고 있다.
자연재해에 의한 손실은 화재사고 또한 79초마다 한번씩 발생하며 매년 전세계 곳곳에 1200건의 토네이도와 1000건 이상의 거대 지진이 발생한다.
데이터 손실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복구 가능한 손실’과 ‘복구 불가능한 영구적 손실’인데, 두 가지 모두 ‘데이터의 가치’, ‘생산성 저하’ 및 ‘기술 지원’ 등의 측면에서 개인과 기업에 시간적·금전적인 손해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손실된 데이터를 완전히 복원하기까지는 평균적으로 6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 인력을 동원할 경우 시간당 약 3만원 정도의 비용이 든다고 보고됐다. 기업의 경우 PC를 다시 정상화하기까지 걸리는 다운타임은 곧 업무 생산성 저하로 연결되며 비즈니스 측면에서 시간당 평균 6만원 이상의 손실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서호익 아크로니스코리아 사장은 “시스템 안팎에 존재하는 다양한 위협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시스템 및 데이터 백업, 체계적인 복구 계획 수립, 전 방위적 보안 환경 구축이 필수적이지만 여전히 자연 재해에서 지능적인 데이터 보안 위협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자산에 대한 위험 요소를 발견하고 해결하는데 미숙한 것이 현실”이라며 “전세계 개인 및 기업 PC의 사례를 바탕으로 잠재적인 위험 요소들을 빠르게 파악해 손실을 예방할 수 있도록 강력한 보안 기능의 시스템 및 데이터 관리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
| |
| |
| |
|
| 관련뉴스 |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