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 뉴스센터 > IT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와 AI 가속화 위한 협력 발표

2016년11월17일 11시35분
게임포커스 신은서 기자 (ses@gamefocus.co.kr)

엔비디아( CEO 젠슨 황)가 엔터프라이즈 분야의 AI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협력을 발표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기업들이 AI 혁명에 참여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협력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나 온프레미스(On-Premises)에서 엔비디아 테슬라(Tesla) GPU에서 구동되도록 만들어진 최적화된 엔터프라이즈 AI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기업들은 이제 자사의 데이터센터에서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에 이르는 AI 플랫폼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엔비디아의 공동 설립자 겸 CEO 젠슨 황(Jen-Hsun Huang)은 "우리는 새로운 컴퓨팅 모델의 기술력에 힘입어 AI 컴퓨팅 시대의 출발점에 서게 되었다”며,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의 긴밀한 협력은 기업이 엔비디아 DGX-1과 테슬라GPU 기반의 가장 빠른 AI 플랫폼이자 가장 확장성이 뛰어난 솔루션, 그리고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로도 변환 될 수 있는 최고의 툴을 가지게 됐음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해리 셤(Harry Shum) 마이크로소프트 AI 및 리서치 그룹 수석부사장은  "우리는 모든 조직이 더 스마트한 제품을 만들고 세계적으로 가장 시급한 문제들을 해결할 하는데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마이크로소프트는 엔비디아와의 긴밀한 협력 및 GPU 가속 시스템 파워 활용으로 코그니티브 툴킷과 마이크로소프트 애저를 가장 빠르고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AI 플랫폼으로 만들었으며, AI는 이제 어떤 비즈니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에 의해 공동으로 최적화된 이번 플랫폼은 NVLink™ 기술과 파스칼(Pascal) GPU를 탑재한 엔비디아 DGX-1™ 슈퍼컴퓨터를 포함한 엔비디아 GPU 및 현재 프리뷰 중인 애저 N시리즈 가상 머신에서 새로운 마이크로소프트 코그니티브 툴킷(이전의 CNTK)을 구동한다. 이 조합은 딥 러닝을 위한 데이터 활용시 전례 없는 탁월한 성능과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AI를 활용하여 보다 나은 결정을 내리고 신제품 및 서비스를 보다 빨리 출시하며, 더 나은 고객 경험을 제공 할 수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모든 업계에서 AI를 적용하고 있는데, 엔비디아가 딥 러닝에 관련해 협력하는 기업의 수는 단 2년 만에 194배 증가해 1만 9천 개 이상으로 급증한 바 있다. 이미 헬스케어, 생명 과학, 에너지, 금융 서비스, 자동차 및 제조업과 같은 산업에서는 방대한 데이터에 기반한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활용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코그니티브 툴킷은 다른 툴킷보다 더 빠르게 딥 러닝 알고리즘을 교육하고 평가한다. 또한 정확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CPU에서 GPU 및 다중의 머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확장한다.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는 GPU 기반 시스템과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클라우드에서 코그니티브 툴킷을 가속화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온 바 있다. 스타트업 및 주요 기업에 제공하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는 애저 내, 그리고 엔비디아 DGX-1 온프레미스 연결 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AI 플랫폼의 일부가 되는 엔비디아 GPU를 위한 코그니티브 툴킷을 최적화하기 위해 협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지스타25]넷마블, 미공개 신작 MMORPG 'SO...
위메이드커넥트, 서브컬처 RPG 신작 ‘노아...
[지스타25]'칠대죄 오리진' 등 신작 5종으...
[지스타25]'팰'도 잡고 도넛도 먹고... 게...
롤파크, '발로란트 게임 체인저스 챔피언십...
kakao LINE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목록으로 스크랩하기
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숨기기
댓글 0 예비 베플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이 없습니다.
1

많이 본 뉴스

우리기술투자, 두나무 송치형 네이버파이낸셜 최대주주 등극 가...
네오셈, 엔비디아 인텔에 50억달러 투자 차세대칩 공동 개발... ...
어보브반도체, 삼성전자 SiC 전력반도체 상용화 시동... 삼성전...
제이티, AI 데이터센터 SSD 수요 폭증... 삼성 SSD 테스트핸들러...
헥토파이낸셜,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인프라 공급 부각... 네이버...
와이즈넛, 정부 국정자원 NHN클라우드로 이전 확정... NHN클라우...
다날, 네이버 업비트 인수로 스테이블코인 본격화... 결제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