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댓글 56 예비 베플
작성자
숨기기
1111 08.05 12:39
기자님 25일에 동인행사 취소 건에서 작가 필명을 거론 안한건 이해할 수 있지만 웹툰 작가들이 내뱉는 독자 무시 발언과 오만함에 웹툰계 자체에 환멸을 느낀 웹툰 작가 지망생들의 소신표명을 향해 웹툰 작가의 옹호자들과 아마추어 작가들이 인신공격을 가한 사항은 쏙 빼놓고 계십니다. 지금 기사만 봐선 동인계 전체가 몇몇 동인행사에 참여하는 웹툰 작가탓에 이유없는 피해를 보고 있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동인계에서 주로 활동하는 아마추어 작가들이나 이들을 옹호하는 세력들 전체가 썩어빠진 모습을 보여준 탓에 동인계로 불똥이 튀게 된 것입니다. 삭제
135 122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비회원 08.05 12:29
아직도 성우가 부당해고라는 웃기지도 않는 소리를 하나? 성우는 프리랜서 였고 회사에 소속되어있지도 않았고 계약금또한 확실히 받았다. 이것은 해고도 아닌 프리랜서로서 계약완료를 한거다 오히려 넥슨이 입은 피해가 더 크다고 보는데 답답하게 나오네 삭제
156 96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시간순 | 추천순 | 반대순
7768 08.02 13:55
또 불매운동을 하고있는 독자/유저들이 편협한 미치광이라구요? 해당 작품을 이용하고 있던 유저 또는 독자들에게 작가측에서 너희들은 그냥 나에게 돈을 주는 개 돼지다. 이런 말을 던졌는데 이 말을 듣고 반발하지 않는 사람이 어디있습니까?

만약 모 기업에서 자사의 휴대폰을 쓰고 있는 사람드렝게 "너희들은 우리에게 돈을 줄 호객일 뿐이다." 라고 한다면 불매운동이 일어나지 않겠습니까? 이걸 편협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인가요?

그리고 메갈리아에 대해 꽤나 옹호적이신것 같습니다만 직접 그 사이트의 편린이라도 보신 적 있습니까? 만약 보셨다면 비난하는 네티즌들이 사상을 통제하고있으며 매체를 검열하고 있다고 과연 말할 수 있을까요? 메갈리아 사이트에선 인권을 유린하고, 미성년을 욕보이며, 남성을 비난하고, 자신들만 피해자인냥 떠들며, 살인미수에, 살인계획까지 자랑스럽게 떠들고있는 사이트입니다. 자알 보시고 판단하시길. 그러한 사이트는 검열해야 마땅한것 아닌가 싶군요.
삭제
118 132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8531 08.03 16:58
메갈리아와 일베 닮은점도 많고 많은 애들인거 같다 근데 일베를 짜르면 저딴것들은 짤라야되 ㅉㅉ 하고 메갈을 짜르면 빼애애애애애애애애애애액 거리는걸봐선 메갈이 더드럽다는 생각이들때가있다 그리고 일베애들은 80%와 메갈리아90%에 공통점은 둘다....... 다른사람 말을 안들어 그리고 이둘다 직접얘기할려하면 패드립부터 친다................

울아빠엄마를 보기나했는지 애비충 애미충 이라하고 차마입에담기도 어려운 일이너무많다....나머지분들은 정상같은데 곧 메갈이나 일베 나가신단다 처음에는 호기심으로 들어오셨다가 괜히 들어왔다는 생각이들어서 나기신단다 아래에 되게많은 말들이많은데.......메갈 전체가 나쁘다고 생각하고 저기사 반론하는 거같은데 제발자세히 읽자 메갈전체가아니라 독자들을 호구나 찌질이로 보고 우롱하거나 욕하는 인간들이 잘못됬다는거다.그리고 메갈덕분에 동인계를 전부 박살내는것이 말이되는것인가 이제bl도 gl도못보게 되었다 이것이 잘된것인가 아님 쓸데없는억압인가.....솔직히말해서 이렇게되면 애니메이션보던 학생이나 성인은 무슨 뽀로로만 보게될수도있다 솔직하게 동인에서 성인물이 빠지면.............하.....어쩌자는건지 욕을 넣어도 성인물되는 이세상에서 그리고 케이크스퀘어 신분증없이는 성인물사는것이 불가능하다.......동인은 동인작가가 원하는 스토리로 만화를 만드는건데.........하........










아무튼 쓸데없는얘기만 겁나 했는데 내생각은 이거다 좀기사 똑바로보고 반론하고 말도안되는 소리좀 작작 내뱉자 이런밀들 메갈리아 분들하는게 이젠 손가락이 아프다
삭제
145 130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1234 08.02 12:43
솔직히 회사가 성우의 신념을 고려해서 고용했나요? 그냥 성우 일 잘하니까 계약한 거지요. 회사는 본래 성우 개인의 신념에 신경써서 계약한 게 아닙니다. 계약은 계약이고, 작업은 작업이고, 일은 일이고, 개인의 성향은 성향이지요. 이런 것들을 똑바로 구분하지 않고 경계선을 무너뜨린 건 회사의 잘못이 많습니다. 자기들이 뭔데 개인의 성향이나 신념에 간섭하나요? 그런 건 회사에서 간섭할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성우의 신념에 불만을 가진 유저들이 있다면, 그냥 당사자들끼리 이야기해서 해결하게 놔두었어야 합니다. 간섭의 구분과 경계를 명확히 하지 않은 것이 회사의 잘못입니다. 이건 회사가 성우 해고로 해결할 문제가 아니었어요. 삭제
121 125
댓글의 댓글달기 2 리스트닫기
확인
비회원
성우 해고x 성우 계약해지O - 성우의 신념을 고려해서 고용한건 아니지만 고용한자가 회사에 악영향을 준다면 회사입장에서는 충분히 자체적으로 제제할수잇는부분이죠. 그리고 신념은 무슨... 성우가 페미니즘 옷을 사서 문제가된게아니라 메갈리안 후원해주는 옷을 사서 문제가 생긴거고 성우는 그에대해 사죄문까지 올린 입장입니다. 08.03 16:29
비회원
회사가 개인의 능력을 보고 계약할떄는 그사람의 능력이 회사에 도움이 되기 떄문이지요. 어떤회사던 품위유지가 기본입니다, 범죄행위로 인해 회사에 이미지에 악영향을 끼쳤다면 당연히 징계 및 해고, 피해배상 대상이지요. 성우분의 행동으로 게시판에 교체 요구 및 보이콧 운동이 거세서 불매가 아니라 선구매 환불해 달라는 사람들이 많아 지니 회사 입장에서 손해을 감수 하고 가야 하나요? 그러면 그 손실은 그쪽이 배상하실건가요? 08.03 09:09
이전1다음
1111 08.05 12:39
기자님 25일에 동인행사 취소 건에서 작가 필명을 거론 안한건 이해할 수 있지만 웹툰 작가들이 내뱉는 독자 무시 발언과 오만함에 웹툰계 자체에 환멸을 느낀 웹툰 작가 지망생들의 소신표명을 향해 웹툰 작가의 옹호자들과 아마추어 작가들이 인신공격을 가한 사항은 쏙 빼놓고 계십니다. 지금 기사만 봐선 동인계 전체가 몇몇 동인행사에 참여하는 웹툰 작가탓에 이유없는 피해를 보고 있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동인계에서 주로 활동하는 아마추어 작가들이나 이들을 옹호하는 세력들 전체가 썩어빠진 모습을 보여준 탓에 동인계로 불똥이 튀게 된 것입니다. 삭제
135 122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1234 08.02 12:44
김자연 성우가 지지하는 메갈리아는 잘못된 사이트지만, 그 지지 의사 표현을 기업에서 해고라는 형태로 직업과 생존권을 틀어쥐고 간섭하고 억압한 것은 명백한 잘못입니다. 적어도 기업이 해고로 대응할 문제도, 관여할 문제도 아닙니다. 그런 식으로 해결하는 건 명백히 잘못이지요. 성우를 지지하는 작가들의 말이 틀린 건 아닙니다.
삭제
124 118
댓글의 댓글달기 3 리스트닫기
확인
비회원
그럼 한명의 생존권을 위해 수백 수천의 기업의 회사원들 생존권은 무시당해도 된다는 겁니까? 이사람 개똥철학 대로 세상굴러가면 진짜 답없겟다. 이상한 논리로 세상을 살아가려고하네 일상생활 가능하신가요? 08.03 16:31
비회원
계약그보 다 주고 계약만 해지한,성우한텐 금전적으로 아무런 피해도 없는 일인데 뭔 생존권?성우가 넥슨에 소속된줄 아시나? 08.03 10:51
비회원
재미 있으신 분이네요. 스스로 신념도 있으신듯 근데 왜 전 그쪽이 잘못되었다 느낄까요 08.03 09:07
이전1다음
1234보시오 08.02 15:24
4. 편협한 것은 현재 열심히 분노중인 네티즌들이 아닌 그 대상이 되는 웹툰작가와 동인계/서브컬쳐에 있는 수많은 트위터리안들이다. 그들은 자신의 주장에 대치되거나 듣기 싫은 말들을 하는 계정들은 블락하고, 리트윗이 아닌 캡쳐로 떠다가 지지자들과 조리돌림하여 ‘그래 나는 정상이야, 주변에 나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 이렇게 많은 걸’ 따위의 한심한 자기위로를 반복하는 사람들이다. 서브컬쳐계가 썪지 않았다면, 지금 시행되는 네티즌들의 수많은 공격에 피해를 별로 입지 않을 것이다. 피해를 입는 것은 그만큼의 부정한 면이 있다는 것이다. 독자의 권리를 오남용 한다고 했는데 독자의 권리가 무엇인가? 보고싶은 그림은 보고, 보기 싫은 그림은 안보는 것이다. 더 나아가 그런 자신의 생각을 주변에 나는 이러이러해서 이렇다 라고 말하는 것이 전부이다. 웹툰 작가들의 말에 의하면 웹툰/서브컬쳐계에서 돈을 주는 것은 독자가 아니고 회사인데(해츨링작가의 말을 빌리면 이윤을 따지지 않는 회사이다) 제3자에 불과한 독자가 어떻게 작가들에게 탄압을 시도할 수 있단 말인가. ‘손님이 왕’이라는 말을 적어놨는데, 이는 소비자가 아닌 공급자가 생각해야 하는 마인드이다. 이 사태가 터지기 전 독자들은 오히려 작가들을 대상으로 ‘우리가 왕이다’ 따위의 생각을 한 적이 없다. 그런데 작가들은 본 기사에도 캡쳐가 있듯이 ‘그래서 안볼거야?’라던지 ‘색이 이뻐서 봤나보다, 그 지능으로....’ 따위의 말은 물론 ‘니들이 그래도 나는 전~혀 좆되지 않는다’등의 말을 했다. 그런 발언에 소비자는 분노할 수 있는것이고, 나아가 불매운동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물론 제3자에 불과한 소비자가 무슨 영향력이 있겠습니까만^^)
+메갈리아 일부 회원들의 일로 전체를 비난하지 말라고 했는데 이는 3번에 적어놓았다. 자정작용이 되지 않는다면, 외부에서 전체를 폐기/정화해야 한다. 우물물에 독이 한방을 들어갔다면, 그 우물은 폐쇄되는 것과 같다. 그리고 계속 성우 비난 네티즌들이라고 하는데 물타기는 당신이 하고 있다.
삭제
151 118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1234보시오 08.02 15:25
12. 마지막으로 1234작성자가 했던 단락이 결국 돌고 돌아 성우에 대한 이야기다. 맞다. 회사는 성우의 신념을 고려해서 고용한 것이 아니다. 그래서 계약했고, 녹음했고, 대가(돈)을 지급했다. 그런데 해당 성우에 대한 안 좋은 이미지가 퍼졌다. 그렇다면 회사는? 성우를 교체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깨끗한 방법이다. 회사에서 경계선을 무너뜨리는 잘못을 했다고? 개소리다. 회사는 이윤창출을 목표로 모인 집단이고(이는 경영학을 배우면 가장 먼저 배우는 개념이고, 고등학생조차 알고 있다. 물론 해츨링 작가 입장에서는 아니지만), 계약한 성우의 이미지가 나쁜 것은 매출에 마이너스면 마이너스지 결코 플러스적 요소가 아니다. 따라서 이윤창출과 극대화를 위해서는 해당 성우의 교체가 불가피하며, 애초에 이런 건은 회사 측에서 손해배상 청구를 해야 하는 입장이다.(각종 사건과 루머에 휘말린 연예인들의 CF, 광고 등을 생각해보면 간단하다.)
+그리고 1234분은 ‘해고’라고 얘기하는데, 성우는 정규직도 아니었고, 해당 건에 대해서만 프리랜서로 계약한 것이다. 넥슨과 성우는 계약을 했고, 그 내용을 이행(녹음과 대가 지불)을 끝마쳤으며, 그 작업물의 결과로써 녹음파일을 쓸 것이냐 쓰지 않을 것이냐는 사용자인 넥슨에서 결정하면 되는 것이다. ‘구설수에 오른 성우의 녹음파일 vs 구설수 없는 성우로 새로 녹음’ 회사입장에서 이것을 결정하는 것이 어려운가? 이미 돈까지 전부 지급한 마당에?
김자연 성우는 이 사태 초기에 넥슨과 합의하에 결정했다고 말하며 빠졌다. 그런데 김자연 성우를 지지한다는 사람들은 넥슨을 보이콧한다고 해시태그를 같이 단다. 앞뒤가 안 맞는 것 아닌지 스스로 생각해보길 바란다.
삭제
153 118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12345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