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댓글 56 예비 베플
작성자
숨기기
1111 08.05 12:39
기자님 25일에 동인행사 취소 건에서 작가 필명을 거론 안한건 이해할 수 있지만 웹툰 작가들이 내뱉는 독자 무시 발언과 오만함에 웹툰계 자체에 환멸을 느낀 웹툰 작가 지망생들의 소신표명을 향해 웹툰 작가의 옹호자들과 아마추어 작가들이 인신공격을 가한 사항은 쏙 빼놓고 계십니다. 지금 기사만 봐선 동인계 전체가 몇몇 동인행사에 참여하는 웹툰 작가탓에 이유없는 피해를 보고 있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동인계에서 주로 활동하는 아마추어 작가들이나 이들을 옹호하는 세력들 전체가 썩어빠진 모습을 보여준 탓에 동인계로 불똥이 튀게 된 것입니다. 삭제
135 122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비회원 08.05 12:29
아직도 성우가 부당해고라는 웃기지도 않는 소리를 하나? 성우는 프리랜서 였고 회사에 소속되어있지도 않았고 계약금또한 확실히 받았다. 이것은 해고도 아닌 프리랜서로서 계약완료를 한거다 오히려 넥슨이 입은 피해가 더 크다고 보는데 답답하게 나오네 삭제
156 96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시간순 | 추천순 | 반대순
8531 08.03 16:58
메갈리아와 일베 닮은점도 많고 많은 애들인거 같다 근데 일베를 짜르면 저딴것들은 짤라야되 ㅉㅉ 하고 메갈을 짜르면 빼애애애애애애애애애애액 거리는걸봐선 메갈이 더드럽다는 생각이들때가있다 그리고 일베애들은 80%와 메갈리아90%에 공통점은 둘다....... 다른사람 말을 안들어 그리고 이둘다 직접얘기할려하면 패드립부터 친다................

울아빠엄마를 보기나했는지 애비충 애미충 이라하고 차마입에담기도 어려운 일이너무많다....나머지분들은 정상같은데 곧 메갈이나 일베 나가신단다 처음에는 호기심으로 들어오셨다가 괜히 들어왔다는 생각이들어서 나기신단다 아래에 되게많은 말들이많은데.......메갈 전체가 나쁘다고 생각하고 저기사 반론하는 거같은데 제발자세히 읽자 메갈전체가아니라 독자들을 호구나 찌질이로 보고 우롱하거나 욕하는 인간들이 잘못됬다는거다.그리고 메갈덕분에 동인계를 전부 박살내는것이 말이되는것인가 이제bl도 gl도못보게 되었다 이것이 잘된것인가 아님 쓸데없는억압인가.....솔직히말해서 이렇게되면 애니메이션보던 학생이나 성인은 무슨 뽀로로만 보게될수도있다 솔직하게 동인에서 성인물이 빠지면.............하.....어쩌자는건지 욕을 넣어도 성인물되는 이세상에서 그리고 케이크스퀘어 신분증없이는 성인물사는것이 불가능하다.......동인은 동인작가가 원하는 스토리로 만화를 만드는건데.........하........










아무튼 쓸데없는얘기만 겁나 했는데 내생각은 이거다 좀기사 똑바로보고 반론하고 말도안되는 소리좀 작작 내뱉자 이런밀들 메갈리아 분들하는게 이젠 손가락이 아프다
삭제
145 130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1234보시오 08.02 15:24
5. 사상 통제/검열/탄압은 정말 개소리다. 보다 정확한 표현은 그네들이 했던 발언과 행동에 ‘책임을 지우는 것’에 불과하다. 웹툰을 재밌게 봤고, 웹툰작가들을 좋아했던 독자들 입장에서 최대한 그들을 보호해주려는 움직임에서, 그 작가들이 독자들을 찌질이, 도다리, 돈바치는 노예, 호구 등으로 생각하는 것을 안 시점에서 작가들 스스로가 독자들을 적으로 만들어버렸다. 아와 비아의 싸움은 전쟁이고, 전쟁에서 약점을 공격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6. 네티즌들의 90%이상이 메갈을 ‘몰랐다고 치자’ 그들이 정보를 얻은 것은 인터넷이다. 조금의 수고만으로도 트위터, 블로그, 커뮤니티 사이트 등등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그들이 적극적으로 웹툰작가들을 성토하는 분위기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웹툰계와 동인계는 여전히 메갈을 지지하고 메갈=페미니즘이라는 생각이 뿌리깊다. 누가 잘못된 것인가? 메갈리아를 모르는 것은 트위터라는 새장안에 갇힌 웹툰작가 및 동인계 사람들과 그 외의 사람들이다.(사과문이라고 올라오는 것들을 보면 대다수가 저는 메갈리아에 대해 잘 몰랐다 등의 발언이 있다.^^ 알지도 못하는 것들을 위해 발언하고, 분노하고, 외쳤던 사람들은 지능이 참 높다)

7. 애초에 네티즌들은 작가들에게 재고의 기회를 주었다. 초기에 작가들의 트위터를 보고 놀란 사람들은 ‘메갈리안은 이러이러한 사이트이다.’ 라고 얘기를 해주었으나 돌아온 것은 ‘맨스플레인 하지 마시죠’ 라는 답변과 조리돌림뿐이다. 그리고 계속해서 소신, 신념, 표현의 자유를 얘기하는데, 그 자유라는 것이 면책권은 아니다. 표현을 했다면, 그것에 대한 책임은 당사자에게 있다. 그들은 초기에 자신의 발언을 철회할 기회가 있었고, 시간이 있었다. 하지만 이미 시간이 많이 지났고, 열차는 떠났을 뿐이다.
삭제
141 114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1235보시오 08.02 15:22
이 사태를 초기부터 봤던 지나가던 네티즌 입장에서 1234작성자분의 말에 분노를 금할 수가 없어서 이글을 씁니다. 1234작성자분이 한 말들 하나하나 반박을 해봅니다.

1. 웹툰작가들 등이 한 말들 중 좋은 말도 있지만 대다수가 비난하는 대상은 그런 작가들이 아닌 잘못된 발언과 소신을 가진 작가들이다. 언급한 배명훈 작가는 메갈리아와 페미니즘을 동일시 했으며, 해츨링 작가는 문제의 논점을 파악하지 못한 채 한 말들에 대하여 본인이 책임을지지 못하고 있다.(티셔츠를 입어서 해고된 것이 아니라 그로인한 게임 및 기업 이미지와 매출에 관계되어 ‘해고’가 아닌 ‘계약해지’가 된 것이며 넥슨은 작업물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고도 사용하지 않는 것 뿐이다.) 또한 자신의 잘못은 인정하지 않고 결국 일베를 하는 사람까지 포용하는 발언도 하였고 기업의 목적은 이윤이 아니라는 발언도 하였다. 황준호 작가는 옹호글 이후 철회하였으나 메갈에 대한 공격적인 사람들의 태도를 문제시 삼았는데, 이는 메갈이 지금까지 했던 활동에 의한 역풍인 것을 언급하지 않는다.(강남역 추모때 피해자 오빠에게 남자는 빠지라고 말하던 메갈을 생각해보자) 본인이 보고싶은 것만 보고, 듣고싶은 것만 듣는 것은 1234작성자 본인이 아닌지 다시한번 생각해봅시다.

2. 현 사태는 이미 성우를 비판하는 단계를 떠났다. 김자연 성우는 초기에 넥슨과 합의했다며 주변에 자제를 요청하고 발언을 아끼고 있고, 오히려 그런 입장의 성우를 지지한다며 넥슨 보이콧과 같이 해시태그를 단 웹툰작가 및 다른 사람들에게 분노하는 중이다. 의도적으로 ‘성우 비난 네티즌’이라고 그룹지어 얘기하고 있는데, 정확하게는 메갈리아 및 그에 옹호하는 웹툰작가&아집으로 소통을 차단한 작가들을 비난하는 네티즌이다. 그들은 제대로 보지도 않고 반대한다는 이유만으로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초창기에)작가들에게 메갈리아는 이런 집단이고, 이런 발언을 하는 게시글들이 있고, (티셔츠)후원금이 이렇게 사용되었고.... 등등을 알려주었지만 맨스플레인이라며 거부한 작가들, 알려줌에도 불구하고 ‘메갈리아=페미니즘’, ‘메갈반대=여혐/차별주의자’의 생각의 틀에 갇혀 트위터라는 우물에 주저앉은 작가들의 발언에 분노하였고 비난하는 것이다.
삭제
136 112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1111 08.05 12:39
기자님 25일에 동인행사 취소 건에서 작가 필명을 거론 안한건 이해할 수 있지만 웹툰 작가들이 내뱉는 독자 무시 발언과 오만함에 웹툰계 자체에 환멸을 느낀 웹툰 작가 지망생들의 소신표명을 향해 웹툰 작가의 옹호자들과 아마추어 작가들이 인신공격을 가한 사항은 쏙 빼놓고 계십니다. 지금 기사만 봐선 동인계 전체가 몇몇 동인행사에 참여하는 웹툰 작가탓에 이유없는 피해를 보고 있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동인계에서 주로 활동하는 아마추어 작가들이나 이들을 옹호하는 세력들 전체가 썩어빠진 모습을 보여준 탓에 동인계로 불똥이 튀게 된 것입니다. 삭제
135 122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1234보시오 08.02 15:23
3. 메갈리아의 활동과 주장을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가 메갈리아가 이룩한 성과가 있어서인가? (그런게 있다고 생각하지도 않지만)성과가 있다치자, 메갈리아는 내부에서 자정이 전혀 되지 않는 사이트이며 집단이다. 메갈리아4는 애초에 계정도용(본인의 정보가 아닌 타인의 정보로 페이지 개설)을 하여 페이스북과 소송을 들어갔고, 그에 대한 충당금을 모으기 위한 티셔츠 후원금 모금이었다. 또한 메갈리아 내부에서 쓰여진 그 수많은 게시물들(좆린이, 한남, 씹치, 강간/살인 모의 등등)을 내부에서 자정하려고 노력하기는커녕, 수많은 공감과 지지를 얻었던 사이트이다. 살인마도 어떤 존재에겐 따뜻한 존재였을 것이다. 강간마도 사회적으로 기여를 했던 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어째서 그들에겐 일률적으로 살인마와 강간마라는 낙인을 찍어 비난하는가? 삭제
133 111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7768 08.02 13:49
1234님이 뭔가 장문으로 많이 적어놓긴했는데... 회사측에서 해고라는게 이게 해고라고 해야하나? 계약해지를? 쌍방간 원만하게 해결 다 봤다는데? 라고 생각합니다. 즉 기업측에서 잘못한 것
은 없다는 것이죠.

그리고 게임의 성우 기용은 광고의 모델을 기용한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해당 광고를 찍던 모델이 불미한 사건에 휘말리거나 일으킬 경우 해당 모델과의 계약은 해지되며 역으로 고소하여 회사 이미지에 타격을 입혔다고 배상금을 물리기도 합니다.
게임 역시 게임의 인기와 유저의 유치를 위해 좀 더 특색있는 케릭터를 내놓기도 하죠.
그런 케릭터의 목소리를 연기하는 분이 특정 신념을 주장하여 게임사측의 유저들에게 불매 및 환불, 탈퇴가 이어진다면 회사측에서는 역으로 고소까지도 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걸 원만하게 계약해지 / 이전까지의 계약금 지불 완료 라고 정리를 하였는데 이걸 기업측에서 잘못했다곤 저어언혀 볼 수 없군요.
삭제
129 143
댓글의 댓글달기 0 리스트보기
1234 08.02 12:44
김자연 성우가 지지하는 메갈리아는 잘못된 사이트지만, 그 지지 의사 표현을 기업에서 해고라는 형태로 직업과 생존권을 틀어쥐고 간섭하고 억압한 것은 명백한 잘못입니다. 적어도 기업이 해고로 대응할 문제도, 관여할 문제도 아닙니다. 그런 식으로 해결하는 건 명백히 잘못이지요. 성우를 지지하는 작가들의 말이 틀린 건 아닙니다.
삭제
124 118
댓글의 댓글달기 3 리스트닫기
확인
비회원
그럼 한명의 생존권을 위해 수백 수천의 기업의 회사원들 생존권은 무시당해도 된다는 겁니까? 이사람 개똥철학 대로 세상굴러가면 진짜 답없겟다. 이상한 논리로 세상을 살아가려고하네 일상생활 가능하신가요? 08.03 16:31
비회원
계약그보 다 주고 계약만 해지한,성우한텐 금전적으로 아무런 피해도 없는 일인데 뭔 생존권?성우가 넥슨에 소속된줄 아시나? 08.03 10:51
비회원
재미 있으신 분이네요. 스스로 신념도 있으신듯 근데 왜 전 그쪽이 잘못되었다 느낄까요 08.03 09:07
이전1다음
1234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