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 뉴스센터 > IT

마이크로소프트, 신규 파트너 기술 및 정책 대거 발표

2022년07월20일 14시09분
게임포커스 김성렬 기자 (azoth@gamefocus.co.kr)

 

마이크로소프트가 한국시간 20일 연례 파트너 컨퍼런스 마이크로소프트 인스파이어 2022(Microsoft Inspire 2022)를 온라인으로 개최, 40만개가 넘는 파트너사의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돕는 기술 및 정책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 CEO 겸 이사회 의장 등 마이크로소프트 주요 임원진이 연사로 나서, 파트너의 비즈니스 성장, 업무방식 혁신, 보안 유지 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및 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를 공개했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는 기조연설에서 “지난 몇 년간 디지털 전환을 광범위하게 이야기했지만, 이제는 디지털 혁신을 논하는 것을 넘어 모든 조직에 '디지털 숙명(Digital Imperative)’의 메시지를 던져야 할 때다”라며 “이는 번창하는 조직과 뒤처지는 조직 간의 차이를 만들고, 인플레이션 경제에서 디플레이션의 힘이 되어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역풍을 헤쳐나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라며 파트너 생태계가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를 적극 활용해 위기 극복에 적극 나서줄 것을 당부했다.  

 

디지털 컨택센터 플랫폼(Digital Contact Center Platform)
이날 마이크로소프트는 고객 관리 경험을 현대화하는 '디지털 컨택센터 플랫폼’을 선보였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올해 초 인수한 인공지능 음성인식 기업 뉘앙스(Nuance)의 솔루션을 포함 다이나믹스365, 파워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등 다양한 자사 제품을 확장 및 협업 가능한 오픈 플랫폼으로 통합한 것으로, 채널에 관계없이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원활한 지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컨택센터 플랫폼은 디지털 채널 전반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정보 반복을 줄이고, 기업과 고객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개인화된 서비스 창출과 통합 및 자동화에 드는 비용 절감을 목표로 만들어졌다. 이 플랫폼을 통해 독립 소프트웨어 개발사(ISV)는 더 지능적인 챗봇, 더 빠른 라이브챗 박스, 직관적인 AI 솔루션 등 고객을 위한 컨택센터 경험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애저 스페이스 파트너 커뮤니티(Azure Space Partner Community)
마이크로소프트는 2020년 10월 애저 스페이스를 출시하고 우주 산업 전반에 걸쳐 의미 있는 파트너십을 구축해왔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파트너는 우주탐사 기업, 제조업체, 시스템 통합업체, 데이터 공급업체, ISV, 스타트업 등 생태계 전반을 아우른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를 활용, 우주 파트너 생테계 지원을 위한 애저 스페이스 파트너 커뮤니티를 출범한다. 커뮤니티에 가입하는 파트너에는 ▲공동 혁신 및 엔지니어링 ▲시장 진출 기회 확장 및 지원 ▲마케팅 지원 ▲제품 오퍼링 인센티브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이를 기반으로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가장 포괄적이고 혁신적인 오피링을 공급, 우주 기반 기술과 서비스를 발전시킬 수 있다.

 

애저 마이그레이션 및 현대화 프로그램(Azure Migration and Modernization Program, AMMP)
AMMP는 인센티브, 모범사례 지침, 도구, 전문가 지원 등을 통해 500개가 넘는 파트너의 마이그레이션 및 현대화를 간소화 및 가속화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마이크로소프트는 AMMP에 대한 실질적인 투자와 업데이트를 지속하며, 마이그레이션의 규모를 키우고 있다.

 

예컨대 윈도우 서버 및 SQL 서버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인센티브는 최대 2.5배 확대, 인센티브를 각 지역에 맞게 할당할 수 있는 권한을 마이크로소프트 세일즈 조직에 위임해 파트너가 마이크로소프트의 지역별 플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린다. 또 업데이트된 애저 WAF(Well-Architected Framework)와 애저 CAF(Cloud Adoption Framework) 모범사례 지침은 물론, ISV가 자체 IP를 통합할 수 있는 옵션을 포함한 애저 마이그레이트(Azure Migrate) 신규 기능도 제공한다.

 

소버린 클라우드(Microsoft Cloud for Sovereignty)
각국 정부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통해 사회·경제적인 성장 기회를 창출하고, 공공 서비스를 강화하는 가운데 자국민의 요구와 이익, 법적 규제 등을 함께 지원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러한 상황에 맞춰 정부 영역에 특화된 소버린 클라우드를 공개했다.

 

소버린 클라우드는 공공부문 고객이 컴플라이언스와 보안 및 정책 요구사항을 충족함과 동시에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상에 워크로드를 구축, 이를 디지털로 전환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공공부문 기업은 광범위한 플랫폼 기능, 회복탄력성, 보안, 확장성 등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모든 이점을 취하면서, 운영 및 거버넌스 프로세스의 데이터, 레지던시, 투명성 등에 대한 더 효과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하이브리드 업무 실현(Making hybrid work work)
마이크로소프트는 하이브리드 업무를 실현하고 협업 경험을 워크플로에 적용하는 등 고객이 신규 업무 패턴을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파트너와 협업하고 있다. 일례로 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 어도비와 협력, 팀즈 채팅방을 나가지 않고도 전자서명이 가능한 팀즈용 어도비 애크로뱃 사인을 제공해 조직의 생산성을 한 단계 향상시켰다.

 

이날 마이크로소프트는 하이브리드 업무 경험을 높이는 팀즈 신규 기능도 발표했다. 엑셀 라이브(Excel Live)는 미팅창에서 실시간 엑셀 공동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마이크로소프트 화이트보드 툴셋을 기반한 공동주석(Collaborative annotations)을 통해서는 미팅 참석자가 공유된 콘텐츠 위에 그림을 그리거나 타이핑을 할 수 있다.

 

근로자들의 참여, 학습, 웰빙 지식 발견 등을 돕는 직원 경험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비바에는 새로운 솔루션이 추가된다. 여기에는 조직 우선순위에 맞는 결과를 이끌어내는 목표 설정 관리 솔루션 비바 골(Vival Goals), 조직의 연결성 및 커뮤니티 구축을 지원하는 비바 인게이지(Viva Engage) 등이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달 영업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비바 세일즈를 공개하기도 했다.

 

출시 1주년을 맞은 클라우드 PC 서비스 윈도우 365에도 현대화된 작업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변화가 지속된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는 관리자가 이전 시점으로 클라우드 PC를 복구하는 PITR(Point-in-Time Restore) 기능, 윈도우 업데이트를 자동화하는 오토패치(Autopatch) 기능 등을 추가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인스파이어 2022에서 발표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에이치투, 2D 벨트스크롤 액션게임 '마블 ...
넷이즈, 미디어 쇼케이스 통해 무협 신작 '...
카카오엔터 베리즈, 'MMA2025' 글로벌 팬 ...
웹젠, 2025년 3분기 매출 438억원, 영업이...
[창간기획] ② KCD 등재를 앞둔 '게임이용...
kakao LINE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목록으로 스크랩하기
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숨기기
댓글 0 예비 베플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이 없습니다.
1

많이 본 뉴스

우리기술투자, 두나무 송치형 네이버파이낸셜 최대주주 등극 가...
네오셈, 엔비디아 인텔에 50억달러 투자 차세대칩 공동 개발... ...
어보브반도체, 삼성전자 SiC 전력반도체 상용화 시동... 삼성전...
제이티, AI 데이터센터 SSD 수요 폭증... 삼성 SSD 테스트핸들러...
헥토파이낸셜,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인프라 공급 부각... 네이버...
다날, 네이버 업비트 인수로 스테이블코인 본격화... 결제시스템...
오버테이크(Overtake) 'TAKE' 토큰 글로벌 동시 상장으로 유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