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 게임정보 > 뉴스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GSOK), 2024년 2차 한국 게임이용자 조사 결과 발표

2024년12월26일 13시50분
게임포커스 김성렬 기자 (azoth@gamefocus.co.kr)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GSOK)가 23일 게임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조사를 목적으로 매년 시행하고 있는 청소년 및 일반인 게임이용자 조사의 2024년 2차 보고서를 발표했다.

 


 

2024년 한국 게임이용자 조사는 2024년 9월 23일부터 2024년 10월 17일까지 이루어졌으며, 각각 청소년(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과 일반인 약 2,000명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 결과, 전체 여가에서 게임 이용이 차지하는 비율은 청소년과 일반인 각각 69.0%, 60.0%로 1차 조사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게임 플레이 시 이용하는 플랫폼으로는 모바일의 비중이 과반 이상을 차지해 다른 플랫폼에 비해 높았으며, 청소년 이용자의 32.6%는 ‘거의 일주일 내내 게임을 즐긴다’라고 답했다.

 

청소년 이용자가 최근 6개월 간 가장 많이 이용한 게임은 (모바일)브롤스타즈와 (모바일)로블록스였으며, 일반인 이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게임은 (온라인)리그 오브 레전드로 나타났다. 이는 1차 조사와 동일한 결과로, 해외 게임물의 지속적인 인기와 꾸준한 이용자 선호도를 보여준다.

 

게임 신작이나 공략 등의 정보를 얻는 주 경로로는 청소년(60.7%)과 일반인(38.4%) 모두 동영상 스트리밍을 꼽았으며, 청소년의 동영상 스트리밍 활용도가 보다 높았다.

 

확률형 아이템 정보 공개법의 시행을 인지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청소년 36.7%, 일반인 45.2%였으며, 해당 법의 시행에 만족한다는 비율은 청소년 64.7%, 일반인 60.6%에 달했다.

 

다만, 공개된 정보의 신뢰도에 대한 조사에서는 신뢰한다는 응답(각각 34.8%, 32.2%)이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각각 24.1%, 26.4%)에 비해 크게 높지 않아, 확률형 아이템 정보에 대한 신뢰도 회복이 중요할 것으로 보였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는 청소년의 한 달 평균 여가비용의 증가 및 게임 아이템 및 관련 콘텐츠에 사용한 금액의 증가다. 청소년의 여가비용은 1차 조사에 비해 8,550원 증가한 96,099원으로 집계되었으며 중위값 역시 30,000원에서 40,000으로 올랐다.

 

청소년이 게임 아이템 및 관련 콘텐츠에 사용한 금액은 6,338원 증가한 57,824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여가활동에 대한 경제적 지출이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4년 청소년 및 일반인 게임이용자 2차 조사 보고서의 요약본은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는 지속적으로 이용자들의 게임 이용 형태를 조사하고 필요한 정책을 연구하는 한편 각종 공익적 지원을 다방면으로 확장시켜 건강한 게임 환경을 조성하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퍼펙트 랜덤, 인디 플랫포머 게임 '드릴 버...
스마일게이트 신작 '카오스 제로 나이트메...
'폭발적 흥행' 넥슨 신작 '아크 레이더스',...
넥슨 신작 방치형 RPG '메이플 키우기' 깜...
엔씨소프트-대원미디어 게임 유통 계약 체...
kakao LINE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목록으로 스크랩하기
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숨기기
댓글 0 예비 베플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이 없습니다.
1

많이 본 뉴스

우리기술투자, 두나무 송치형 네이버파이낸셜 최대주주 등극 가...
네오셈, 엔비디아 인텔에 50억달러 투자 차세대칩 공동 개발... ...
어보브반도체, 삼성전자 SiC 전력반도체 상용화 시동... 삼성전...
제이티, AI 데이터센터 SSD 수요 폭증... 삼성 SSD 테스트핸들러...
헥토파이낸셜,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인프라 공급 부각... 네이버...
와이즈넛, 정부 국정자원 NHN클라우드로 이전 확정... NHN클라우...
다날, 네이버 업비트 인수로 스테이블코인 본격화... 결제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