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 게임정보 > 뉴스

게임위, 확률형 아이템 확률 정보 공개 제도 사후관리 성과 발표... 행정조치 이행률 99.3%

2025년02월13일 13시58분
게임포커스 박종민 기자 (jjong@gamefocus.co.kr)

 

게임물관리위원회(위원장 서태건, 이하 게임위)는 지난해 3월 22일자로 시행된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게임산업법)의 ‘확률형 아이템 확률정보 공개 제도’의 사후관리 성과를 발표했다.

 

게임위는 지난 1년 간 확률형 아이템과 관련하여 총 3,829건을 모니터링하고, 이 중 950건(국내 320건, 국외 630건)의 위반사항을 적발하여 시정조치를 시행했다. 그 결과 전체 시정 이행률은 99.3%이며, 특히 국외 사업자의 시정률은 98.9%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게임위는 제도 시행 전 플랫폼사업자와 협력체계를 마련하고 국외 사업자와 적극 소통한 결과라 분석했다.

 

또 ‘에이팩스 레전드’, ‘AFK: 새로운 여정’ 등 국외 게임들이 국내 제도를 준수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공개되지 않던 확률이 전 세계 이용자들에게 공개되는 등 국내 제도가 글로벌 유통 게임시장에 미친 영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주요 위반 유형을 살펴보면, 게임물의 광고 내 확률형 아이템 포함 문구를 표시하지 않은 ‘광고 내 정보 미표시’ 가 371건(39.1%)으로 가장 많았으며, 게임 내 혹은 홈페이지에 확률을 표시하지 않은 ‘확률 미표시’ 332건(34,9%), 개별 구성품에 대한 확률을 표시하지 않은 ‘개별 확률 미표시’ 137건(14.4%), 기타(11.6%) 순으로 나타났다.

 

게임위는 제도 시행에 따른 혼선을 최소화하고 제도가 실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확률형 아이템 사후관리 설명회 및 사업자 간담회 개최 ▲게임 이용자 간담회 개최 ▲게임 이용자 및 국내외 사업자 핫라인 채널 운영 ▲확률표시 가이드라인 제작·배포 및 개선 ▲사업자 대상 확률 정보 표시 교육 프로그램 제작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는 설명이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확률정보를 제대로 표시하지 않고 문화체육관광부의 시정명령을 미이행하는 국외 게임물에 대해서는 앱 마켓에서 유통을 제한했다고 밝혔다. 이는 제도 시행 전 플랫폼사업자와 협의한 절차로, 글로벌 게임 유통 환경에서의 국내 게임이용자의 권익 보호와 국내외사업자 간 형평성을 고려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더 나아가, 올해 ‘국내 대리인 지정 제도’가 시행되면 국내외 게임사의 규제 형평성 문제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서태건 위원장은 확률형 아이템 확률정보 공개 제도가 이용자 권익 보호를 위한 게임 생태계 조성의 중점 정책임을 강조하며, “제도 정착을 위해서는 사업자의 적극적인 노력과 협력이 필수적이다. 향후 여러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사후관리를 지속하여, 게임이용자 권익 보호 강화에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최고 레벨 85레벨 확장, 신규 캐릭터 '마법...
그라비티, 2025년 3분기 매출액 1389억 원 ...
'1분 컷' 받고 '45초 컷', 20살 맞은 '던전...
넥슨 '블루 아카이브' 4주년 페스티벌, 입...
에이치투, 2D 벨트스크롤 액션게임 '마블 ...
kakao LINE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목록으로 스크랩하기
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숨기기
댓글 0 예비 베플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이 없습니다.
1

많이 본 뉴스

우리기술투자, 두나무 송치형 네이버파이낸셜 최대주주 등극 가...
네오셈, 엔비디아 인텔에 50억달러 투자 차세대칩 공동 개발... ...
어보브반도체, 삼성전자 SiC 전력반도체 상용화 시동... 삼성전...
제이티, AI 데이터센터 SSD 수요 폭증... 삼성 SSD 테스트핸들러...
헥토파이낸셜,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인프라 공급 부각... 네이버...
와이즈넛, 정부 국정자원 NHN클라우드로 이전 확정... NHN클라우...
다날, 네이버 업비트 인수로 스테이블코인 본격화... 결제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