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의 스테이블 코인 사업 진출을 선언한 김석환 부사장이 정부와 국회에 스테이블 코인 금융의 제도권 수용을 고민해 달라는 부탁을 전하고, 가상자산 예탁원이 설립되어야 공공성을 바탕으로 한 원화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의 차별화된 경쟁력이 생겨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위메이드는 18일 서울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프로젝트 스테이블 원'(PROJECT STABLE ONE)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위메이드가 원화 스테이블 코인의 대표주자로 K금융 세계화에 앞장서겠다는 비전이 발표됐다.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사업을 이끌며 위믹스 재단 대표도 겸임중인 김석환 부사장은 직접 무대에 올라 블록체인 기술로 금융 혁신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원화 스테이블 코인 금융이 제도권에 수용되어야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금융이 힘을 가질 수 있다고 역설했다.
김 부사장은 해외 노동자들이 임금을 달러 기반 스테이블 코인으로 지급해달라는 요청이 많다는 점, 싱가포르에서 법정 화폐보다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한 지급이 기업들에게 선호된다는 점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사례들을 소개하며 가상자산거래소들이 이미 금융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위믹스 플랫폼을 운영하고 블록체인 사업을 오랫동안 진행한 위메이드가 원화 스테이블 코인도 선도해 제도권에 들어가 K금융을 글로벌로 가져가겠다는 것이 김 부사장의 비전.
김석환 부사자은 기존 가상화폐 시장에서 문제가 된 암호키 분실, 오전송 등의 실수가 해결되지 않는 점이나 블록체인 관련 범죄 등의 문제도 원화 스테이블 코인 제도권 편입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부사장은 "위메이드는 상장사로서 제도권과 규제와 의무, 탈중앙화 사이에서 끊임없는 고민을 거듭해 왔다. 원화 스테이블 코인은 결국 제도권에 들어가고 기존 금융과 연결되어야 한다"며 "그래야 전 국민이 꿈꾸는 스테이블 코인으로 결제하고 거래하고, 해외에서 사용하는 날이 올 수 있다. 국회와 정부에 이 문제에 대해 고민해줄 것을 공식적으로 요청드린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공성에 기반한 가상자산 예탁원이 설립되어 가상자산 금융을 공공 영역에서 보증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김석환 부사장은 발표를 마치며 "위메이드는 금융기관이 되려는 것이 아니다"라며 "단독 스테이블 코인 발행자가 되고 싶지 않고, 블록체인 기술을 가진 기술 파트너로 파트너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원화 스테이블 사업을 펼쳐나갈 것"이라 전했다.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