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콘텐츠 서비스 기업 이즈메이커(대표 최정회, www.ismaker.com)는 KT(구 KTF)로부터 상표권과 지적재산권 등 피해를 입은 중소, 벤처기업들과 함께 '진짜 상생'을 위한 '3불(不) 정책 추진위원회(이하 '3불 추진위')'를 창설한다고 금일(28일) 밝혔다. '3불 추진위'에 가입해 뜻을 같이 할 중소기업인이라면 이메일(IP@ ismaker.com)로 피해사례와 담당자 연락처를 보내면 된다.
이즈메이커는 최근 인공지능채팅서비스 '심심이'에 대한 상표권 문제로 KT와 분쟁을 벌이고 있다. 이 회사는 '심심이' 서비스를 2002년 단독 개발해 2004년 온라인 상표권을 획득한 바 있다. 그러나 KT는 '심심이'의 모바일 상표권을 취득한 뒤 사업에서 이즈메이커를 일방적으로 퇴출시켰다. 이후 '중소기업과 상생하겠다'는 골자의 '3불 정책'을 외쳐온 KT는 '심심이' 사태를 두고 "중소기업의 일방적 주장"이라며 도의적 책임에 대해 회피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즈메이커는 자사와 같이 KT에게 상표권, 지적재산권 피해를 입은 중소, 벤처 기업인들을 모아 함께 공동으로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여러 기업들이 힘을 합쳐 '알맹이 없는 3불 정책'을 외치고 있는 KT에게 피해 사례를 규명시키게 하고, 도의적인 책임을 묻는 등 적극적으로 권리 찾기에 나서겠다는 포부다. '3불 추진위'는 향후 전문 변호인 섭외를 통해 피해사례에 대한 컨설팅을 진행하고, 필요할 경우 공동 법정 소송도 검토할 예정이다. 이밖에 공동 민원, 공청회 개최, 법률 개정을 위한 학계 연구지원 등도 준비하고 있다.
이즈메이커 최정회 대표는 "대기업이 유리한대로 해석해 내뱉는 '텅빈 상생'이 아닌,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진정으로 상생하기 위해 공동 대응안을 수립할 것"이라며 "이제까지 자기 목소리를 내기 어려웠던 중소기업들이 모여 적극적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즈메이커는 'KT 이석채 회장에게 드리는 글 두번째'를 28일 오전 공개하고 KT를 향해 자사 서비스 '심심이' 반환을 촉구했다.
KT 이석채 회장께 드리는 글 두번째. 전문
안녕하십니까. 이석채 회장님!
(주)이즈메이커 대표 최정회입니다.
저는 지난 6월 22일 'PD수첩(MBC)' 방영 후 '심심이'를 되찾기 위해 회장님께 공개 서한을 올렸습니다.
그러나 이 서한이 회장님께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있다는 여러 정황들이 발견돼 이렇게 다시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KT의 임직원 분들께서는 이 사안을 굳이 회장님께 보고하고 판단을 구하기 보다는
개인고객부문(구 KTF)장 및 홍보실 선에서 마무리하기로 한 것 같습니다.
개인고객부문 측에서는 이번 이슈와 관련없는 문제(타 업체와의 소송)를 들고 나와
문제의 본질(벤처기업의 아이디어를 가로챈 KT(F)의 부도덕함)을 희석하였고,
회장님께 올린 서한과 관련된 언론 기사들은 순식간에 네이버 등 포털에서 사라져 버렸습니다.
그러나 KT 임직원 분들의 생각과 달리 '심심이'를 아끼는 수 많은 목소리들은 꺼지지 않고 오히려 널리 퍼지고 있습니다.
그 목소리에는 2002년 '심심이'의 걸음마를 기억하는 청장년층 뿐 아니라, 이제 막 '심심이'를 접한 초등학생까지도 포함돼 있습니다.
심심이를 돌려달라는 '아고라 청원'은 순식간에 2,600여명의 네티즌을 끌어 모았습니다.
심심이의 슬픈 사연을 담은 만화는 이 시간에도 곳곳으로 전파되고 있습니다.
이석채 회장님!
더 좋은 KT를 만드는 것은 올레톡과 올레TV, 더 좋은 주파수 확보가 전부는 아닙니다.
회장님만은 더 좋은 KT를 위해 무엇을 먼저 해야 하는지 알고 계실 것입니다.
5년 전, 학생 신분으로 학교에서 뵈었던 이석채 '장관님'은 그것을 명확히 알고 계시는 분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회장님께 이렇게 또 편지를 띄웁니다.
심심이를 위해, 그리고 더 좋은 KT를 위해 부디 저를 만나 주십시오.
아니, 목소리라도 들려 주십시오. -최정회 배상-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