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국내 최고 게임전시회, 3년만에 '금의환향'... 경쟁력과 가능성 함께 보여준 '지스타 2022'

등록일 2022년11월24일 13시55분 트위터로 보내기

 

'지스타 2022'가 20일 폐막했다. '지스타2022'는 2020년 초 '코로나19'의 확산이 본격화 되면서 온라인으로의 병행 개최, 부분 오프라인 개최를 거쳐 3년 만에 오프라인에서 현장 관람객들을 모두 받는 형태로 개최됐다. 올해 '지스타 2022'의 조직위 잠정 추산 누적 관람객 수는 18만 4천여 명이다.

 



 

기자는 2020년과 2021년에도 벡스코를 방문했었는데, 그 당시 해운대 근처나 벡스코는 말할 것도 없고 이미 부산역에서부터 분위기가 이전보다 매우 가라앉아 있다는 감상을 받았고 하루 빨리 시끌벅적한 오프라인 게임쇼 특유의 분위기를 다시 느꼈으면 하는 생각이 크게 들었었다.

 

물론 지난해 열린 '지스타 2021'에서도 오프라인 전시가 이루어지긴 했다. 하지만 이전보다 축소된 부스 규모와 다소 아쉬운 라인업으로 인해 오프라인 개최에 의의를 두고, 내실 다지기는 한 걸음 쉬어 간다는 느낌이 더 강했다.

 

하지만 정상 개최된 올해 '지스타 2022'에는 다수의 기대작들이 출품됐고, 그동안 즐길 수 없었던 오프라인 게임쇼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려는 듯 수많은 이들이 모였다. 이전에 열렸던 '지스타' 일정 중 평일에는 시연대가 다소 여유로운 편이었는데, 올해는 개최 당일인 목요일부터 심상치 않음을 느꼈을 정도다.

 



 

올해 '지스타 2022'는 힘들고 정신 없던 취재 일정과 업무를 떠나, 일단 게이머로서 순수하게 즐거웠다. 게임을 시연하거나 굿즈를 사고,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의 코스프레를 하고 사진을 찍으며 즐거워하는 관람객들 사이에 있자니 '그래 이게 '지스타'였지' 라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으로는 '블루 아카이브' 코스프레를 하신 분들의 사진을 많이 찍지 못해 아쉽다.

 



 

3년만에 돌아온 '지스타', '국제 게임 전시회'로 한 걸음 나아가다

'지스타 2022'에 다녀간 주위 사람들과 업계 관계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인플루언서 팬미팅 장소'라거나 '모바일스타' 같은 지난 수년 동안의 부정적 평가는 듣기 어려웠다.

 

이러한 호평의 이유는 역시 3년 만에 정상 개최되는 '지스타'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이러한 기대감을 만족시켜주는 '게임쇼 다운' 출품작들이 다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출품작 중에서는 'P의 거짓', '칼리스토 프로토콜', '젠레스 존 제로'가 기억에 많이 남는데, 이중에서도 'P의 거짓'은 '국내 게임 개발사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것을 결과물로 보여준 것 같아 매우 인상적이었다. 또 '젠레스 존 제로'의 뛰어난 완성도와 트렌디한 감각도 뇌리에 깊게 남았다.

 


 

'지스타 2019'가 끝난 뒤 적었던 칼럼에서 '지스타'의 본질은 게임쇼이며, 게임쇼의 경쟁력은 게임 그 자체에서 나온다고 강조한 바 있다. '국제 게임 전시회'라는 이름에 걸맞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인사이트'와 발전된 게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여야 마땅하기 때문이다.

 

특히나 '지스타'가 단순히 관람객 수치에 목메지 않고, 보다 '국제 게임 전시회'라는 타이틀에 걸맞는 게임쇼로서의 내실을 갖춰야 한다는 뜻에서 이 이야기를 매해 강조해 왔다. 더불어 게임사들의 '모바일게임 일변도' 기조에도 변화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도 함께 담겨 있었다.

 

그런 측면에서 올해는 내실과 경쟁력 확보에 합격점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국내 게임사들이 그동안 준비했던 변화된 기조, 그리고 경쟁력과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최근 열린 '지스타' 중 가장 유의미했고 보고 즐길 거리가 많은 '지스타'였다.

 



 

'지스타 2022'에는 모바일 플랫폼 일변도에서 벗어나 다양한 장르 및 플랫폼의 게임들이 출품됐고, 이전보다도 더욱 본격적으로 시연 중심의 전시가 이루어졌다. 스팀덱, 플레이스테이션5, 닌텐도 스위치로의 게임 시연도 이전에는 보기 어려운 풍경이었으나 올해에는 부스 어디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여러 측면에서 점차 해외 게임쇼와 닮아가는 느낌을 받게 된다.

 

특히 기존에 관람객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증명됐던 인플루언서 프로그램, 현장 이벤트 및 e스포츠 대회들이 게임 시연과 함께 어우러지면서, 이제 '보는 게임'과 '하는 게임'의 비율이 잘 맞아 떨어지게 되었다는 감상도 느꼈다.

 







 

뿐만 아니라 업계를 둘러싼 현안에 대해 토론회, 컨퍼런스도 다수 열렸다. 연사들의 게임 개발 철학을 들어보고 함께 고민하는 '인사이트' 측면에서도 합격점을 줄 수 있겠다. 컨퍼런스에는 캡콤의 츠지모토 료조 프로듀서, 퀀틱드림의 데이비드 케이지 대표, 플래티넘 게임즈의 카미야 히데키 치프 게임 디자이너, '철권' 시리즈의 개발을 이끌고 있는 하라다 카츠히로 프로듀서 등 유명 개발자들이 대거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지스타 2022'의 핵심 키워드 '안전', 무사히 마무리 된 대규모 행사

한편, 최근 일어난 이태원 참사로 인해 대규모의 인원이 몰리는 행사에서의 안전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이에 주관사 및 부산시, 유관기관들은 참관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안전 관리 계획 하에 행사를 운영했다. 1제곱미터당 2명으로 내부 입장 인원을 제한하고 벡스코 인근 도로의 차량 통행을 통제하는 등 노력을 기울인 끝에 한 건의 사고도 없이 무사히 행사가 마무리 됐다.

 



 

실제로 행사장 내부는 '코로나19' 이전 경험했던 '지스타'보다 쾌적한 편이었다. 전시관 내부에 관람객들이 많기는 했지만 이동하는데 크게 불편함은 없었고, 눈에 잘 띄는 형광색 조끼를 착용한 안전 요원들도 내부에 상주하며 관람객들의 이동 동선과 밀집도를 관리했다. 에스컬레이터나 계단 등 사고가 일어나기 쉬운 장소에서도 안전 요원이나 경찰이 상시 대기하며 주의를 당부했다. 현장에 투입된 관리 인력은 약 500여 명으로 알려졌다.

 



 

이번 '지스타 2022'에는 18만 4천명이 방문했다. 단순 계산으로 하루에 약 4만 6천명 가량이 벡스코를 찾은 것이다. '코로나19' 이전 24만 여 명이 모였던 것에 비하면 줄어든 수치이긴 하지만 분명 엄청난 관람객 수다.

 

이렇듯 수많은 게이머들이 한데 모이고 크게 주목을 받는 게임쇼가 바로 '지스타'다. 3년 만에 개최되는 터라 기대감이 컸고 많은 사람들이 방문할 것은 자명한 사실. 심지어 이태원 참사 이후 열리는 대규모 오프라인 행사였던 만큼 우려의 목소리가 컸지만, 안전 사고 없이 무사히 폐막했다는 점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2021년 열렸을 당시에도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규모 축소를 감수하며 주관사 및 부산시, 유관기관들의 노력했한 바 있다. 올해에는 여기에 더해 각 부스 별 안전 요원을 배치한 게임사, 질서를 지키며 게임쇼를 즐긴 게이머들까지 모두가 안전을 위해 노력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게임 전시회로서의 성장과 성과, 내실도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지스타 2021'에 이어 그 무엇보다도 안전이 키워드로 떠올랐던 만큼 이번 '지스타 2022'의 결과는 꽤나 유의미하다.

 

기자는 2021년 '지스타' 칼럼에서 '지스타 2022'가 방역과 안전 측면에서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 적었다. 게임쇼가 오프라인으로 개최되며 다시 정상 궤도에 오르는 것이 최우선 과제였고, 올해에는 조직위와 게임사, 게이머들 모두가 함께 이러한 과제를 무사히 수행해 냈다.

 



 

뿐만 아니라 그동안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형 게임쇼로서의 특색도 비로소 자리를 잡았으며, 게임사들의 변화된 기조를 바탕으로 한 다변화된 게임의 면면도 흥행에 힘을 보탰다.

 

올해 흥행과 안전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낸 '지스타'다. 단순한 방문 관람객 수, B2B 관계자 방문 수, 비즈니스 매칭 금액 등 수치에만 연연하지 않고, 2023년에 열릴 '지스타'에서도 다양한 국내외 신작들을 안전하게 만나볼 수 있기를 기원해 본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취재기사 기획/특집 게임정보

화제의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