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 뉴스센터 > e-sports

T1 우승 '2024년 LoL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 최고 동시 시청자 수 5천만 명 넘었다

2024년12월12일 14시57분
게임포커스 이혁진 기자 (baeyo@gamefocus.co.kr)

 

T1의 2년 연속 우승으로 마무리된 '2024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을 전 세계에서 동시에 지켜본 인구가 대한민국의 인구와 맞먹는 것으로 확인됐다.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 LoL)를 개발, 서비스하고 있는 라이엇 게임즈는 지난 11월 2일(토) 영국 런던에 위치한 O2 아레나에서 마무리된 2024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의 시청 지표를 공개했다. 

 

LCK 대표 T1과 LPL 대표 빌리빌리 게이밍(BLG)의 대결로 진행된 2024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은 풀 세트 접전 끝에 T1이 세트 스코어 3대2로 승리했다. T1은 전신인 SK텔레콤 T1 시절인 2013년 처음으로 월드 챔피언십 정상에 오른 이후 2015년, 2016년, 2023년, 2024년 등 5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제우스' 최우제, '오너' 문현준, '페이커' 이상혁, '구마유시' 이민형, '케리아' 류민석 등 T1의 주전 5명은 역대 최초로 2년 연속 월드 챔피언십을 제패한 라인업으로 남았다. 

 

라이엇 게임즈는 협력사인 스트림 해칫(Stream Hatchet)을 통해 2024년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 시청 데이터를 수집, 분석했다. 전 세계 20개 이상의 언어로 송출된 이번 결승전의 최고 동시 시청자수(Peak Concurrent Viewers)는 5,000만을 넘어서면서 우리나라 총 인구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을 제외한 지역에서 결승전을 시청한 최고 동시 시청자수는 670만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분당 평균 시청자수(Average Minute Audience)는 무려 3,300만 명에 달했다.

 

이번 결승전은 시청 지표 이외에도 여러 가지 화제를 낳았다. 올해 월드 챔피언십 개막식의 감독은 해미시 해밀턴(Hamish Hamilton)으로, 지난 15년간 슈퍼볼 하프타임 쇼의 연출을 맡은 베테랑이다. 해미시 해밀턴은 최근 두 차례 라이브 종합 특별 프로그램 부문에서 에미상을 수상했으며 올해에는 그래미, 오스카, 슈퍼볼, LoL 월드 챔피언십 모두 감독을 맡았다. 결승전 메인 행사와 개막식을 연출하기 위해 29개국에서 이번 행사에 참여했다.

 

한편, 2025년 LoL 월드 챔피언십은 중국에서 진행되며 결승전은 청두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컴투스 'SWC2025' 'PU’ 월드 챔피언 등극,...
유럽 '서머너즈 워' 팬들 파리로 집결, 컴...
창단 25주년 맞은 네덜란드 '팀 리퀴드' 빅...
컴투스 '서머너즈 워' 최강자 가리는 'SWC2...
엔비디아, 삼성과 글로벌 지능형 제조 혁신...
kakao LINE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목록으로 스크랩하기
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숨기기
댓글 0 예비 베플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이 없습니다.
1

많이 본 뉴스

우리기술투자, 두나무 송치형 네이버파이낸셜 최대주주 등극 가...
네오셈, 엔비디아 인텔에 50억달러 투자 차세대칩 공동 개발... ...
제이티, AI 데이터센터 SSD 수요 폭증... 삼성 SSD 테스트핸들러...
어보브반도체, 삼성전자 SiC 전력반도체 상용화 시동... 삼성전...
헥토파이낸셜,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인프라 공급 부각... 네이버...
다날, 네이버 업비트 인수로 스테이블코인 본격화... 결제시스템...
오버테이크(Overtake) 'TAKE' 토큰 글로벌 동시 상장으로 유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