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 뉴스센터 > 인터뷰

아키에이지의 초대형 몬스터 '붉은 용', 이렇게 만들었다

2013년08월05일 11시55분
게임포커스 이혁진 기자 (baeyo@gamefocus.co.kr)


지난 7월 17일 '아키에이지'에 업데이트 된 대형 몬스터 '붉은 용'이 업데이트 후 2주가 지나도록 유저들을 유린하며 최강의 위용을 뽐내고 있다.

붉은 용은 서버의 유저들이 힘을 모아 상대하면 간신히 잡을 수 있는 수준으로 디자인된 월드 보스 몬스터다. 일부 길드가 편법까지 동원해가며 도전하고 있지만 번번이 무릎을 꿇고 말았다.

게임포커스에서는 엑스엘게임즈에서 아키에이지 몬스터 AI 전투 기획을 담당하고 있는 권기렬 기획자를 만나 붉은 용 기획의도와 붉은 용을 처치하기 위한 조언을 들어 봤다.

엑스엘게임즈에서 '아키에이지' 몬스터 AI, PvE 기획을 담당하고 있는 권기렬 기획자

초대형 필드 몬스터 '붉은 용' 기획의도
게임포커스: 먼저 간단한 자기 소개를 부탁드린다.

권기렬 기획자: '랑그릿사', '발더스게이트', '리니지', '에버퀘스트', '발더스게이트'와 같은 RPG를 즐기다 RPG 개발자가 됐다. 아키에이지에서는 몬스터 AI, 전투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몬스터 전투기술 등 몬스터와 관련된 일을 주로 맡고 있다.

게임포커스: 붉은 용은 MMORPG에서 간만에 보는 초대형 필드 몬스터였다.
권기렬 기획자: 몬스터는 크면 클수록 만드는 보람이 있다.

작은 몬스터를 디자인할 때는 주변 지형 등에 신경을 안 쓰고 개체에 집중해서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집중하게 된다. 하지만 덩치가 커지니 주변 지형이나 지형에 속한 다른 개체들, 거기에 대응하는 유저에 대한 고민까지 해야 해서 만드는 데 시간도 걸리고 보람도 컸다.

게임포커스: 앞으로 이런 대형 몬스터가 더 추가되는 건가?
권기렬 기획자: 기존의 '크라켄'도 대형 몬스터에 속한다. 앞으로도 몇 개 더 만들 생각인 건 맞다. 기본적으로는 몬스터의 크기에 집중하기보다는 유저들이 몬스터와 싸운다는 느낌을 주고 싶다.

붉은 용의 경우 현재는 유저들에게 압도적인 상대에 도전해 일방적으로 깨지는 느낌을 주고 있는데 앞으로는 좀 더 전투를 주고 받는 느낌을 줬으면 좋겠다. 이건 몬스터의 크기와는 상관이 없는 문제다.

크면 클수록 만드는 보람이 있다고 했듯 몬스터의 크기에도 어느 정도 집착은 있다. 앞으로 붉은 용보다 더 큰 게 나올 수도 있다. 다양하게 구상 중이다.

붉은 용은 처음부터 기획에 있었던 몬스터라고 한다

게임포커스: 붉은 용은 처음부터 기획에 있었던 건가?
권기렬 기획자: 소설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처음부터 설정에는 다 들어가 있던 부분이다. 기본적으로 판타지에 용이 안 나오면 재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게임포커스: '에버퀘스트'에서 수백명의 유저들이 함께 상대했던 대형몬스터 이후 간만에 보는 대형 필드 몬스터였다.
권기렬 기획자: 에버퀘스트의 그 감성을 다시 느끼게 해 주고 싶었다.

용이 등장해 날개가 있는데도 땅에 내려와서 싸우는 식으로 묘사하는 데에는 그 동안 좀 의문을 갖고 있었다. 용이 하늘을 날 때는 날틀로 공중에서 공격해 내려오게 하려 했는데 아쉽게 구현을 못 했다. 기술적인 문제보다는 크기의 문제였다. 용이 너무 커서 날틀 속도로는 따라잡을 수 없어서 실현이 안 되었다.

그리고 기왕 용이 등장한다면 좀 더 큰 스케일로 싸울 수 있다고 생각해서 '덩어리감'을 느끼게 하다 보니 임팩트가 큰 덩치를 갖게 됐다. 사실 에버퀘스트도 크긴 컸지만 덩어리감을 느끼게 한 건 아니었다.

인던의 몬스터는 공략 인원이 정해져 있지만 필드 몬스터는 불특정 다수의 유저와 대결하게 된다. 정해진 시나리오나 전투 수순이 없고 버그, 어뷰징도 주의해야 한다. 생각할 수 있는 건 다 고려해서 만들었다. 몬스터의 패턴을 만든다기보다는 어떻게 하면 버그가 일어나지 않도록 만들까에 집중했다.

아이템의 경우, 에버퀘스트에서는 대규모 공략대가 도전해 포인트를 모으면 얻을 수 있었다. 붉은 용의 경우 에버퀘스트 생각을 안 한 건 아니지만 그렇게 되면 몇몇 잡는 사람들만 잡게 되고 하드코어한 유저들의 전용 콘텐츠가 되므로 라이트 유저들도 좀 아이템을 얻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날아다니면 비늘 떨어뜨리고 비늘을 주워 아이템을 만드는 방향을 잡게 됐다. 하드하건 라이트하건 누구나 용이 나오면 좋아하고 용을 따라가도록 유도하려 한다.

붉은 용, 강하지만 무적의 존재는 아니야
게임포커스: 붉은 용은 완성된 것으로 보면 되나? 전투패턴 등에 변화를 줄 예정은 없나?

권기렬 기획자: 일단락 된 상태이긴 하지만 끝난 건 아니다. AI 변화 등에 대해 자세하게는 밝힐 수 없지만 마무리된 상태는 아니다.

게임포커스: 붉은 용을 디자인하는데 참고로 한 작품이 있나?
권기렬 기획자: '로도스도전기'와 '반지의 제왕' 같은 작품에서 이미지를 많이 참고했다. 그런 이미지를 참고해 만들었긴 하지만 그대로 드러나지는 않은 것 같다.

게임포커스: 붉은 용이라는 몬스터에 대해서는 만족하나?
권기렬 기획자: 더 잘 할 수 있었을 거라고 생각한다. 몬스터 하나하나를 개별적으로 보고 있어서 비교하긴 힘들지만 붉은 용 하나만 놓고 보면 발전할 여지가 더 있다고 생각한다.

게임포커스: 아직 붉은 용을 처치한 서버는 없는 것 같다.
권기렬 기획자: 아직 용을 잡은 서버는 없는 게 사실이다. 용 사냥에 필요한 반지와 석궁을 구비한 서버가 없어서 그렇다. 한 달 정도면 서버 내 수백 명의 유저가 반지를 획득할 거라 계산했는데 아직 시도가 제대로 안 되는 걸 보면 뭔가 놓친 게 있는 것 같기도 하다.

한 가지 드리고 싶은 말씀은 붉은 용에게는 제대로 도전해 주시면 좋겠다. 편법을 써서 시도하는 길드도 있는 것 같지만 편법으로는 절대로 용을 잡을 수 없다. 도전을 제대로 해주시길 바란다.

정상적으로 도전하면 방법이 보일 것이다.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게 아니라 트라이를 통해 잡는 방법을 찾아내셔야 한다. 땅 밑에서 공격하는 식으로는 잡을 수도 없거니와 자랑스러운 일도 아니다.

대형 몬스터, 용은 도전해 물리치고 명예를 획득하기 위한 존재이다.

이렇게 말했지만 사실 한 달 안에 붉은 용이 잡히면 엑스엘게임즈 옥상에 매달릴 예정이었다. 한 달 안에는 힘들 거라 예상했고 현상태로는 간신히 처치할 수 있는 수준이다. 최고레벨이 풀리면 좀 수월히 잡히지 않겠나 싶기도 하고.

붉은 용은 참여 자체가 의미가 있는 월드 이벤트니 많은 분들이 즐겨주셨으면 좋겠다. 현재는 불러만 내고 극소수의 유저만 도전하는 분위기인데 와서 놀고 즐기고, 도전하시기 바란다.

현재로서도 몇 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잡을 수 있는 존재다. 무적의 존재는 아니고 강적이다. 조건들을 충족하면 잡을 수 있는 수준이니 땅 밑으로 들어가지 말고 트라이해서 찾아내시길 바란다.

대형 몬스터 다음에 만들고 싶은 건 '대군세'
게임포커스: 꼭 만들어 보고 싶은 몬스터가 있다면 어떤 것인가?
권기렬 기획자: 가장 만들고 싶은 건 '유령기사단'이다. '1000명이 넘는 군대가 도시를 덮치니 힘을 합쳐 막아내자!' 같은 느낌으로... 반지의 제왕에서 성벽을 사이에 두고 오크 군대와 만나 싸우게 되는 그런 느낌을 내고 싶다.

그런데 이게 유저 대 유저가 되면 전투에 대한 이해 부분의 비중이 너무 커진다. 유저들의 대국과 관계없는 장난, 엉뚱한 행동들, 상대 진영에 가서 훼방을 하는 등의 일이 생겨 제대로 구현이 안 된다. 상대가 몬스터라면 협동을 하게 된다. 유저들이 오크를 상대하는 기사단으로 하나로 뭉치게 되는 거다. 그런 걸 한 번 제대로 해 보고 싶다.

게임포커스: 퍼시픽림에 나오는 카이주처럼 진짜 큰 몬스터에 대한 로망도 있을 것 같은데.
권기렬 기획자: 괴수가 너무 거대해지면 유저도 그만큼 커져야 한다고 본다. 거대물약을 먹는 건 말이 안 되는 것 같고, 예거같은 탈것으로 괴수를 때려잡는 거라면 할 수 있다면 해보고 싶다.

게임포커스: 퍼시픽림도 보셨을 텐데 감상을 들려주시기 바란다.
권기렬 기획자: 솔직히 말하자면 조금 실망스러웠다. 재미없었다는 건 아니고 확실한 재미를 느낀 영화였지만 길예르모 감독이라면 더 잘만들 수 있었을 것 같은데 오마주에 너무 힘을 들였던 것 같다.

게임포커스: 아키에이지 내에서 예거같은 거대 2족보행 탈것이 가능할까?
권기렬 기획자: 필드에서 그런 크기가 등장하게 되면 몬스터야 단일 개체라 크기에서 자유롭지만 유저에게 크기를 부여하면 오픈월드다 보니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세가퍼블리싱코리아 'Football Manager 26'...
필립스, UHD 240Hz & FHD 480Hz 듀얼 모드 ...
세가퍼블리싱코리아 11월 추천 타이틀 할인...
스마일게이트 '로스트아크' 정식 론칭 7주...
위메이드 '미르의 전설3' 신규 시공 던전 '...
kakao LINE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목록으로 스크랩하기
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숨기기
댓글 1 예비 베플
시말서가 아니라 유서를 쓰겠다는 말이군요.
ㅇㅁㄴㅇㅁ | 08.07 16:16 삭제
댓글 0
101 63
시말서가 아니라 유서를 쓰겠다는 말이군요.
ㅇㅁㄴㅇㅁ | 08.07 16:16 삭제
댓글 0
101 63
1

많이 본 뉴스

우리기술투자, 두나무 송치형 네이버파이낸셜 최대주주 등극 가...
네오셈, 엔비디아 인텔에 50억달러 투자 차세대칩 공동 개발... ...
어보브반도체, 삼성전자 SiC 전력반도체 상용화 시동... 삼성전...
제이티, AI 데이터센터 SSD 수요 폭증... 삼성 SSD 테스트핸들러...
헥토파이낸셜,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인프라 공급 부각... 네이버...
다날, 네이버 업비트 인수로 스테이블코인 본격화... 결제시스템...
오버테이크(Overtake) 'TAKE' 토큰 글로벌 동시 상장으로 유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