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 게임정보 > 뉴스

"스팀은 업체명 아니야" 네티즌들 지적에 박주선 의원 또 다시 해명

2014년10월01일 18시25분
게임포커스 이혁진 기자 (baeyo@gamefocus.co.kr)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박주선 의원(새정치민주연합, 광주 동구)이 해외게임업체인 밸브 사의 '스팀'이 한국의 등급분류를 받지 않고 있는 것은 국내게임업계에 대한 역차별로, 현행법령이 정하고 있는 게임규제는 국내외 업체에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재차 제기했다.

네티즌들은 지난 9월 29일 해외게임업체가 국내 등급분류를 받지 않고 있음을 지적한 박주선 의원의 주장을 두고 '스팀은 서비스 이름이고 회사 이름은 밸브이며, 박주선 의원이 밸브가 아니라 스팀을 업체 명으로 혼동했다'라고 비판을 가했다.

이에 대해 박주선 의원은 “NHN엔터테인먼트가 서비스하는 '네이버'가 대표적 상징성을 가진 것처럼, 밸브 사가 서비스하는 '스팀' 역시 대표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한 것으로 전혀 문제 삼을 일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또한 “밸브는 자사 개발 게임 외에 스팀에 유통되는 다른 게임의 등급 분류는 관할하지 않고 등급 분류 받을 것을 요구하지도 않는다. 개발사-퍼블리셔가 알아서 한다”면서 “스팀에서만 유통할 목적으로 등급분류를 받는 회사가 얼마나 될까? 그럴 '필요'도 '규제'도 없다”라는 네티즌의 의견에 대해 박주선 의원은 “규제는 기업이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국회의 입법을 통해 한국 정부가 정하는 것으로, 중요한 것은 '스팀'의 운영정책이 아닌 한국의 법체계”라면서,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1조 제1항에서는 게임물을 유통시키거나 이용에 제공하게 할 목적으로 게임물을 제작 또는 배급하고자 하는 자는 등급분류를 받아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 같은 등급분류를 받지 않은 게임을 유통시킨 자는 동법 제32조에 의해 처벌받도록 규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주선 의원은 “게임에 대한 정부 규제는 한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독일과 호주 등의 예를 들었다. 독일의 게임등급분류기관인 USK는 독일 청소년 보호법(Jugendschutzgesetz, JuSchG)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호주 OFLC(office of Film and Literature Classification)과 싱가포르의 MDA(The media Develop-ment Authority) 역시 법제화를 통해 등급분류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독일의 경우 모든 게임용 소프트웨어 제공사업자는 청소년보호법 제14조에 따라 반드시 USK의 연령별 등급과 유형 분류를 부여 받아 표시해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에는 최고 50,000만 유로(약 6,701억 1,000만 원)의 과징금이 부과된다.

박주선 의원은 “법제화에 따라 등급분류를 하는 독일, 한국 등과는 달리, 미국과 유럽, 일본과 같은 민간 자율등급분류기관에서는 등급분류를 받지 않아도 유통이 가능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민간자율에 의해 게임등급을 분류하도록 하는 유럽의 경우 PEGI의 등급분류를 받지 않는 경우 면허 발급취소, 게임 광고의 강제적 수정, 최대 500,000유로(약 6억 6,800만원)에 이르는 벌금 등 법적 처벌을 받게 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박주선 의원은 “주요 언론사가 게임 등급분류를 '필요'도 '규제'도 없다고 표현하는 네티즌의 글을 인용해서 정확한 진위여부조차 확인하지 않은 채 기사를 작성한 것은 정도를 지나친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본 의원이 지적하는 핵심은 게임에 대한 규제 강화가 아니라 한류 수출의 일등공신인 국내 게임업체에 대한 역차별을 시정하는 데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29일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 정부가 국내게임업계에 대해서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고 해외게임업계에는 느슨한 잣대를 들이댄다면 이는 국내 게임업계에 대한 역차별”이라면서 “국내외 게임업체를 동일한 잣대로 규제할 역량이 부족하거나, 게임 등급분류를 엄격히 진행해야 할 필요성이 없어서 방치하는 것이라면 그런 규제는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컴투스홀딩스 기대작 '페이탈 클로' 스팀 ...
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오버드...
Au Elements 수집형 RPG '전지적 시점: 데...
레벨 인피니트 '승리의 여신: 니케', 애니...
'2025 LCK AS 하반기 아카데미 리그' T1 이...
kakao LINE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목록으로 스크랩하기
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숨기기
댓글 2 예비 베플
'NAVER' 서비스는 현재 네이버(주)(과거 회사명 엔에이치엔(주))가 서비스를 하고 있고, NHN엔터테인먼트(주)는 2013년 8월 과거 엔에이치엔(주)시절의 한게임 등의 사업부문을 분할하여 변경상장된 회사로, 현재 지분정리가 완료되어 네이버(주)와는 지분으로는 전혀 관련이 없는 회사입니다. 따라서 'NHN엔터테인먼트가 서비스하는 '네이버''는 말도 안되는 얘기네요. 발언의 취지를 언급하기 전에 기본적인 사실관계부터 확인했으면 하는 안타까움이.... 그러니 신뢰가 생기지 않지요.
빵또아조아 | 10.06 17:40 삭제
댓글 0
72 62
스팀에서 달러를 사서 게임사는데 왜 지네가 지 랄이야, 스팀이 한국돈 결제되면서 저 딴 소리하던가....어디서 지 랄 똥 싸는 소리를 하고 있지???그리고 한국말도 다 커뮤니티에서 번역해서 나오는 게임인데 어디서 한국에 수출하는 게임으로 분류질하냐 씨 푸 랄 의원새 끼 야. 한국어만 써있으면 그냥 달려가서 좆질을 하려하네.
시 부럴? | 10.04 18:00 삭제
댓글 0
78 59
'NAVER' 서비스는 현재 네이버(주)(과거 회사명 엔에이치엔(주))가 서비스를 하고 있고, NHN엔터테인먼트(주)는 2013년 8월 과거 엔에이치엔(주)시절의 한게임 등의 사업부문을 분할하여 변경상장된 회사로, 현재 지분정리가 완료되어 네이버(주)와는 지분으로는 전혀 관련이 없는 회사입니다. 따라서 'NHN엔터테인먼트가 서비스하는 '네이버''는 말도 안되는 얘기네요. 발언의 취지를 언급하기 전에 기본적인 사실관계부터 확인했으면 하는 안타까움이.... 그러니 신뢰가 생기지 않지요.
빵또아조아 | 10.06 17:40 삭제
댓글 0
72 62
스팀에서 달러를 사서 게임사는데 왜 지네가 지 랄이야, 스팀이 한국돈 결제되면서 저 딴 소리하던가....어디서 지 랄 똥 싸는 소리를 하고 있지???그리고 한국말도 다 커뮤니티에서 번역해서 나오는 게임인데 어디서 한국에 수출하는 게임으로 분류질하냐 씨 푸 랄 의원새 끼 야. 한국어만 써있으면 그냥 달려가서 좆질을 하려하네.
시 부럴? | 10.04 18:00 삭제
댓글 0
78 59
1

많이 본 뉴스

대원전선, 美 아마존 한국 내 AI 데이터센터 구축 등에 7조원 투...
우리기술투자, 두나무 송치형 네이버파이낸셜 최대주주 등극 가...
네오셈, 엔비디아 인텔에 50억달러 투자 차세대칩 공동 개발... ...
어보브반도체, 삼성전자 SiC 전력반도체 상용화 시동... 삼성전...
제이티, AI 데이터센터 SSD 수요 폭증... 삼성 SSD 테스트핸들러...
헥토파이낸셜,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인프라 공급 부각... 네이버...
다날, 네이버 업비트 인수로 스테이블코인 본격화... 결제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