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여성가족부(이하 여성부)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함께 인터넷 중독 위험상태에 빠진 청소년이 전체 5%에 이르는 것으로 발표했다. 그러나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가 발표한 '2010년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와 거리가 있어 조사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발표는 '인터넷 이용습관 전수조사' 결과를 근거로 한 것으로 우리나라 초등 4학년의 4.38%, 중등 1학년의 경우 4.89%의 청소년들이 인터넷 중독의 위험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년에 처음 실시된 고등 1년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률은 5.46%로 고위험군 0.97%, 잠재위험군 4.49%로 나타났다.
인터넷 과다사용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은 전체 조사대상 청소년의 4.94%인 8만9천 7백여 명으로 나타났다. <진단 참여자수 : 총 181만 명(초등4년 55만, 중등1년 61만, 고등1년 65만명)>
반면에 지난 3월 행안부는 만 9세부터 39세까지 청소년 및 성인의 인터넷 중독률은 8.0%(중독자수 1,743천명)로 발표했다. 이중에서 청소년 중독률(12.4%)은 성인 중독률(5.8%)의 두 배 이상 높아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이 심각한 것으로 발표했다.
고위험군과 잠재위험군을 합한 여성부는 4.94%, 행안부는 여성부보다 2.5배 많은 12.4%다. 조사 기간과 대상이 달라서 통계 수치가 다른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이를 해석하는 두 부처의 시각은 다르다.
여성부는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군의 비율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분석했다. 초등 4학년은 인터넷 중독 고위험군 조사에서 1.99%(2009), 1.88%(2010), 1.64%(2011)순으로 해를 거듭할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집계했다. 중1도 1.42%(2010)에서 1.26%(2011)로 감소한 것으로 발표했다.
이에 비해 행안부는 초등학생 중독률은 전년대비 2.9% 상승, 인터넷 중독 연령대가 급속히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또 청소년 고위험자수는 218천명(3.1%)으로 전년대비 31천명(0.5%) 증가했다고 밝혔다.
즉 행안부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 고위험자 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이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한 반면 여성부는 '청소년 인터넷 게임 중독 피해 예방 프로그램'의 성공을 앞세운 셈이다.
이미 여성부는 인터넷 중독 치료지원 개시(2005년), 상담지원 체계구축(2006년), 기숙치료학교(2007년) 운영, 학령단계별 인터넷 중독 전수진단(2009) 등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응정책을 마련하여 시행 중이다.
결국 인터넷에 중독된 청소년을 발굴해 치료 지원을 해주겠다는 발상으로 진행한 이번 통계는 신뢰성에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이 게임업계가 여성부를 향해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이라고 말하는 이유다.
| |
| |
| |
| |
|
관련뉴스 |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