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디스크, 엔터프라이즈용 PCI 익스프레스 기반 SSA 제품군 출시

등록일 2012년06월05일 11시03분 트위터로 보내기

샌디스크(SanDisk)는 데이터 센터, 서버 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등에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과 서버 성능을 개선하도록 설계된 라이트닝 PCI 익스프레스 SSA(Lightning PCI Express Solid State Accelerator) 카드를 오늘 선보였다. 

오늘 발표된 샌디스크 라이트닝 PCIe SSA는 워크스테이션 및 서버에 추가로 장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속도와 신뢰성, 비용 절감에 대한 최적의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에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성능을 제공한다.

라이트닝 PCIe SSA 카드 제품군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에 빨리 액세스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무거운 작업부하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이 제품군은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샌디스크의 엔터프라이즈용 SSD 솔루션 포트폴리오에 속한다.

샌디스크가 새로 출시한 PCIe 제품은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끊임없이 분석하고 처리하는 금융기관에서부터, 마우스 클릭과 동시에 즉각적인 반응을 요구하는 고객들에게 부응해야 하는 소셜 미디어 및 웹사이트 제공업체를 포함해, HD 동영상을 편집하는 미디어 콘텐츠 제작업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에서 활용된다. 

샌디스크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 솔루션 부문 부사장 겸 본부장인 그렉 길즈(Greg Goelz)는 “샌디스크 PCIe SSA는 안정된 성능을 제공하며, 단순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핵심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한다”면서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는 이제 샌디스크의 우수한 NAND 플래시 메모리 기술과 혁신적인 컨트롤러 설계를 결합하여 고객들이 신뢰할 수 있는 엔터프라이즈 급 신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PCIe 가속화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라이트닝 PCIe SSA는 샌디스크의 검증된 엔터프라이즈 SSD 기술을 제공하며, 병렬 처리 아키텍처를 사용해 필수 데이터 보호와 I/O(인풋/아웃풋) 기능을 관리하는 첨단 컨트롤러가 적용됐다. 그 결과 비용이 많이 드는 DRAM 메모리 추가 없이, CPU 부하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데이터에 액세스될 때 안정된 성능을 구현한다.

엔터프라이즈 급 신뢰성에 더해, 라이트닝 PCIe SSA에는 저전력 요건이 적용되었으며, 업계 표준 드라이버가 포함돼 추가 소프트웨어나 시스템 변경이 필요하지 않다. 이 카드는 거의 모든 컴퓨팅 시스템에 쉽게 추가될 수 있으며, 간편하고 빠른 성능 가속화 솔루션 역할을 한다.

많은 혁신적인 업체들은 이미 샌디스크의 PCIe 카드를 샘플링하고 있다. 디지털필름 트리(DigitalFilm Tree)의 설립자 겸 CEO인 라미 카트립(Ramy Katrib)은 “샌디스크의 새로운 라이트닝 엔터프라이즈 PCIe SSA는 이전에 채택된 솔루션의 일부에 불과한 비용으로 더욱 효율적인 워크플로우를 고안하기 위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가속화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디지털필름 트리는 급부상하고 있는 ‘데이터 중심’적인 기술을 정의하고 창의적인 워크플로우에 적용하는데 업계 선도의 업체이다.

별도로 구매가 가능한 샌디스크 플래시소프트(FlashSoft) SE 2.0 데이터 캐싱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윈도우 운영 체제에 캐싱 옵션을 적용할 수 있다. 데이터 센터에서는 샌디스크 플래시소프트 데이터 캐싱 소프트웨어와 함께 라이트닝 PCIe SSA를 추가 스토리지층으로 결합하면 대형 서버 워크로드를 지원할 수 있다. 

차세대 PCIe 2.0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라이트닝 PCIe SSA는 모든 4배속(x4) 이상의 PCI 슬롯에 쉽게 설치되며, 까다로운 데이터 센터 및 클라우드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에 엔터프라이즈 급 성능과 신뢰성을 제공한다. 첨단 샌디스크 컨트롤러와 저전력 요건이 적용되며, 2백만 시간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s: 평균무고장시간) 비율과 업계 최고 수준인 5년 보증을 제공한다.

샌디스크 라이트닝 PCIe SSA는 200기가바이트 (GB)1 및 400GB 용량으로 출시된다. 단일 시스템에 최대 5개 카드까지 설치할 수 있어 최대 2테라바이트(TB) 용량을 제공한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취재기사 기획/특집 게임정보

화제의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