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 게임정보 > 뉴스

'데브컴 2025' 새로운 인터랙티브 키노트 세션 발표

2025년08월06일 10시08분
게임포커스 박종민 기자 (jjong@gamefocus.co.kr)

 

데브컴 개발자 콘퍼런스(#ddc2025)가 올해 연사 설문조사 주요 결과와 함께 새로운 프로그램 하이라이트를 공개했다.

 

2025년 연사 설문조사에는 총 100명의 데브컴 연사들이 응답했으며, 이번 조사는 업계의 현 시점에 대한 인식, 도전과제, 트렌드를 엿볼 수 있는 스냅샷을 제공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응답자의 33%는 개발 과정에서 AI 참여를 최소화하길 원함
56명의 참가자가 현재 개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경제적·정치적 불확실성’을 꼽음
46%는 ‘주요 플랫폼 홀더’들이 향후 ‘클라우드 및 디지털 서비스’로 초점을 옮길 것이라고 예상
 

 

한편, 데브컴은 키노트 무대 프로그램에 새로운 세션을 추가했다.

 

레터스 프롬 말레벨론 크리크: ‘헬다이버즈 2’ 은하 전쟁의 내러티브 디자인 – 스티븐 플라워스(애로우헤드 게임 스튜디오)
나의 25년 게임 업계 여정 – 민 리(울티모 라티오 게임즈)
160GB의 저항: ‘스토커 2’ 포스트모템 – 예브겐 그리고로비치 & 마리아 그리고로비치(GSC 게임 월즈)
픽킹 업 씽스: ‘인디아나 존스 앤 더 그레이트 서클’의 1인칭 인터랙션 – 지크 비란트(머신게임즈)
(신규) 비바 라 게임 데브: 한 유튜브 제국이 인디 게임 골드로 변신한 이야기 – 인기 비디오게임 코미디 그룹 비바 라 더트 리그 제작진 출연
(신규) 마리오 카트 월드: 프로를 이겨라 –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프로 선수들이 함께하는 라이브 관객 참여 챌린지

세션 하이라이트: 데브컴 키노트 무대 신규 추가 프로그램

비바 라 게임 데브: 한 유튜브 제국이 인디 게임 골드로 변신한 이야기

출연: 애덤 킹, 앨런 모리슨, 로완 베트제만, 콘라드 쿤체 – 진행: 마르쿠스 빌딩


2025 연사 설문조사 – 주요 결과

이번 연례 데브컴 연사 설문조사는 업계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독특하고도 전망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향후 지배적인 비즈니스 모델
디지털/패키지 프리미엄 게임이 27%로 가장 선호되었으며, 유료 구독(20%)과 인게임 결제를 포함한 부분유료(F2P) 모델(18%)이 뒤를 이음.


얼리 액세스의 지속 가능성
96%가 여전히 유효하다고 답변 — 37%는 전반적으로, 59%는 특정 장르·커뮤니티에서 특히 유효하다고 응답.


플랫폼 독점의 감소
플랫폼 독점이 핵심 전략으로 남을 것이라 보는 비율은 단 6%. 제한적 독점(28%) 또는 기간 한정 독점(34%)이 주류가 될 것으로 예상, 32%는 독점 자체가 점점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


AI 개발 활용 분야
가장 가치 있는 활용 분야로 ‘코드 & 프로덕션’(32%)과 ‘아트 & 애니메이션’(11%)이 꼽힘. 그러나 33%는 AI 활용을 최소화하길 원해 의견 차이가 뚜렷함.


가장 큰 업계 도전 과제
경제·정치적 불확실성(56표), 시장 포화(53표), 개발 비용 상승(44표)이 주요 우려로 나타남.


대규모 디지털 쇼케이스의 가치
54%가 ‘가시성’을 이유로 여전히 유효하다고 답변. 그러나 21%는 ‘비용 대비 효과가 낮다’, 8%는 ‘참여사가 많아 영향력이 약하다’고 응답.


디지털 vs 패키지 구매 성향
디지털 선호 비율이 59%로 우세. 패키지는 주로 컬렉터층(22%)에 어필하며, 19%는 기본적으로 패키지를 선택.


클라우드 게이밍 전망
45%는 콘솔/PC가 여전히 주류가 될 것이라 보고, 46%는 주요 플랫폼 홀더들이 클라우드·디지털 우선 서비스로 전환할 것이라 전망.

엔비디아 30일 서울서 '지포스 게이머 페스...
길게 쉴 수 있는 이번 추석, 덕질 투어를 ...
“우리의 가을을 시작하자” 컴투스 ‘컴투...
네오노비스, '이지투온 리부트:R' 신규 DLC...
세가퍼블리싱코리아 '풋볼 매니저 26' 한국...
kakao LINE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목록으로 스크랩하기
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숨기기
댓글 0 예비 베플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이 없습니다.
1

많이 본 뉴스

우리기술투자, 두나무 송치형 네이버파이낸셜 최대주주 등극 가...
네오셈, 엔비디아 인텔에 50억달러 투자 차세대칩 공동 개발... ...
어보브반도체, 삼성전자 SiC 전력반도체 상용화 시동... 삼성전...
오버테이크(Overtake) 'TAKE' 토큰 글로벌 동시 상장으로 유통 ...
한라캐스트, 산업용 로봇주 상승... 글로벌 AI 자동차기업에 약 ...
풀무원, '금값' 김값 가격 폭등에 정부 김 비축 제도 추진... 김...
워트, 삼성전자 약 23조 테슬라 파운드리 수주... 삼성 美 텍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