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늬만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 증가

방통위,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 실태조사 결과발표

등록일 2011년01월20일 18시53분 트위터로 보내기



※ 실태조사시 실제 침해사고에 악용되었던 샘플, 해외 2곳 이상의 지역에서 발견된 샘플, 3개 이상의 백신엔진에서 발견된 신규 악성코드를 샘플로 활용  
※ 유/무료 구분은 개인 사용자 기준임
※ 설치 시 동의․이용약관이 없는 등 필수 항목이 누락되거나, 실시간 탐지 기능을 지원하지 않은 프로그램은 제외

방송통신위원회의 실태조사 필수항목을 준수하고 상대적으로 사용상 문제점이 없는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은 15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국내에서 제작 유통되고 있는 206종의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09년에 비해 자동업데이트 제공 제품이 크게 증가했으며, 설치 시 이용약관 게시 및 동의확인, 프로그램 삭제 기능 제공 등 고객관리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금번 실태조사에 이용된 2,000개의 신규 악성코드 샘플 중 2/3(약 1330개) 이상을 탐지/치료한 프로그램이 09년보다 다소 증가(27종→36종)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10개 미만을 탐지하여 성능에 문제 소지가 있는 제품도 135종으로 증가(108종→135종)했다.

또 오탐 제품도 증가(24종 → 57종)된 것으로 나타나 이용자들의 제품 선택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방통위는 금번 실태조사에서 2,000개중 2/3 이상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치료하는 제품 36종 중 이용약관 제시, 설치시 동의 확인 등 실태조사 필수항목을 준수하고 상대적으로 사용상 문제점이 없는 15종에 대해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 보호나라 홈페이지 등에 게시하는 등 이용자들이 제품을 선택하는데 참고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방통위는 오탐, 성능미달 등의 문제점이 나타난 제품의 제조자에게 조사 결과를 개별 통보하여 시정토록 권고하는 등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유관기관(경찰청, 한국소비자원 등)과도 협력하여 이용자 피해를 최소화해 나갈 계획이다.

방통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처럼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불량 제품들에 대해 실효성 있는 제재가 가능하도록 법 제도적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지난해 국회에서 발의된 ‘악성프로그램 확산방지 등에 관한 법률안’이 조속히 제정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취재기사 기획/특집 게임정보

화제의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