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금일(3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네이버를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지정한 것과 이해진 GIO를 총수로 언급한 것에 대한 의견을 공개했다.
네이버는 보도자료를 통해 "네이버는 공시대상기업집단이 공개해야할 자료 제출 요청에 성실하게 임했으며 앞으로도 법이 정한 의무를 다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다만 네이버의 이해진 GIO가 네이버의 총수라는 말에 대해서는 반박했는데 "순수 민간기업의 자산 규모가 5조원 이상으로 성장했을 때 지금까지 총수 없는 기업으로 지정된 사례는 민영화된 기업과 외국계, 법정관리 기업을 제외하고는 없었다. 이는 기업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시각 자체가 기업집단제도가 탄생한 30년 전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라며 "네이버는 창업자가 4%대의 낮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친인척의 지분도 이를 활용한 순환출자도 없이 전문 경영인과 이사회 중심의 경영 체계를 확립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네이버는 앞으로의 기업 운영 계획도 밝혔는데, 네이버는 순환출자 및 친족의 지분 참여가 없는 투명한 지배구조, 투명한 플랫폼 운영, 진실성(Integrity)을 중심으로 하는 기업 문화를 바탕으로 탄탄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네이버의 입장 전문이다.
지난 1일 공정거래위원회는 네이버를 공시대상기업집단(준대기업집단)으로 지정했습니다. 네이버는 기업이 규모에 걸맞은 사회적 의무를 다하고 투명성을 갖춰야 한다는 데 동의합니다. 이에 공시대상기업집단이 공개해야 할 자료 제출 요청에 성실하게 임했으며, 앞으로도 법이 정한 의무를 다할 것입니다.
다만, 네이버 이해진 GIO(Global Investment Officer)를 네이버 기업집단의 ‘총수(總帥)’로 지정한 것에 대해서는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순수 민간기업의 자산 규모가 5조원 이상으로 성장했을 때, 지금까지 총수 없는 기업으로 지정된 사례는 민영화된 기업과 외국계, 법정관리 기업을 제외하고는 없었습니다.
국가가 일정 규모로 성장한 모든 민간기업들에게 재벌과 총수의 개념을 부여하는 것은, 기업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시각 자체가 기업집단제도가 탄생한 30년 전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 사회가 한발 더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선, 총수 없는 민간기업을 인정하고 그런 기업들이 더 많아질 수 있도록 장려하는 분위기가 필요합니다. 지금이라도 총수 개인이 지배하지 않고, 이사회와 전문경영인이 책임지고 경영하는 새로운 사례를 만들어 가려는 노력과 의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네이버는 창업자가 4%대의 낮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친인척의 지분도, 이를 활용한 순환출자도 없습니다. 또한, 전문경영인과 이사회 중심의 경영체계도 확립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이번 이해진 GIO의 총수 지정 건이 논쟁에 그치지 않고, 기업의 의미 있는 성장과 우리 사회의 새로운 가능성을 담을 수 있도록 대기업집단 제도가 30년 전의 시각에서 벗어나 유연하게 운용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네이버는 앞으로도 1)순환출자 및 친족의 지분 참여가 없는 투명한 지배구조 2)투명한 플랫폼 운영 3)Integrity를 중심으로 하는 기업문화를 바탕으로, 탄탄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