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업체 씽크풀이 산업통상자원부의 2018년도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과제인 '빅데이터 및 AI 기반의 투자 및 자산관리 지원 서비스 시스템 개발' 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동 과제는 빅데이터 및 AI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 및 기업의 효율적인 투자 및 자산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 개발 과제로, 3년에 걸쳐 정부출연금 30억 원 포함 총 42억 원이 투자되는 대형 과제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서울대학교, KT, 하이가 참여기관으로 과제를 함께 진행한다.
씽크풀의 김동진 대표는 본 과제와 관련하여, “정부가 4차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빅데이터 및 AI 기술을 투자 및 자산관리 분야에 적용한 과제를 낸 것은 이 분야의 산업적 성공 가능성과 기술 고도화의 필요성을 인정한 것으로 이해한다며, 최선을 다해 성공적인 4차산업 혁명시대의 투자 및 자산관리 지원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여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본 과제를 정부에서 산업핵심기술개발 과제로 선정한 것은 본 과제의 연구결과물이 단지 국내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외국에서도 경쟁력이 있는 서비스 시스템이 될 수 있도록 개발하여 관련 산업을 육성하자는 취지로 이해한다며, 국제 경쟁력이 있는 미래형 투자 및 자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반드시 만들어내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씽크풀은 빅데이터 기반의 과학적인 미래형 투자 및 자산관리 시장을 바라보면서 지난 10여년간 고집스럽게 걸어왔는데, 이번 정부과제 수행을 위한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어 정부로부터 그 기술력과 방향성을 인정받게 되어 큰 기쁨과 함께 책임감을 무겁게 느끼고 있다”라며 “특히 현재 수준의 투자 및 자산관리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하고 국제적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AI 기술이 필요한데, 국내 최고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ETRI와 서울대학교의 경험과 기술력을 함께 할 수 있어서 무척 기쁘고 세계 시장에 진출할만한 서비스 결과물을 내겠다”라고 말했다.
본 과제의 최종 연구결과물은 향후 ㈜KT의 금융디지털 자산관리 플랫폼 구축을 위한 기반 기술 및 서비스 모델로도 활용될 예정이며, 서비스 디자인은 국내 최고의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랩인 연세대학교 랩과 협업하고 있는 (주)하이에서 담당하고 있다.
한편, 씽크풀은 2007년부터 로봇으로 하여금 기업들의 공시자료 등을 수집, 분석하면서 로보뉴스, 로보콘텐츠, 로보어드바이저 등의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하여 왔고, 현재 5개 신문사와 13개 증권사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빅데이터 및 AI 기반의 투자 및 자산관리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기술 선도 기업이다.
| |
| |
| |
| |
|
관련뉴스 |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