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 뉴스센터 > 취재

세계 1위 '미스터비스트'도 틱톡 인수 노린다... 트럼프 대통령 '틱톡 금지법' 유예 선언에 일론 머스크 등 틱톡 인수 경쟁

2025년01월21일 11시40분
게임포커스 김성렬 기자 (azoth@gamefocus.co.kr)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명 '틱톡 금지법'의 시행을 잠정 중단시키는 행정명령을 취임 직후 발동하면서 '틱톡'의 매각 가능성이 다시금 고개를 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유예했다. '틱톡 금지법'은 19일까지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사업을 제한하는 법안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틱톡은 75일의 시간을 확보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관련 명령서에 서명한 뒤 기자들에게 "내게 그것(틱톡)을 팔거나(미국기업에 팔도록 하거나) 종료시킬 권리를 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미국 법인과 바이트댄스의 합작 회사를 만들어 미국 법인의 지분을 50% 이상 만드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중국이 승인하지 않으면 중국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밝히는 등 여전히 대중 압박을 가하고 있다.

 


 

미국 연방 의회는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가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금지법을 제정한 바 있다.

 

이 법에 따라 1월 18일 경 미국 내 '틱톡'의 서비스가 일시 중단됐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식 전날 '틱톡' 구제에 나설 것이라고 밝히면서 다시금 복구됐다.

 

전방위적인 트럼프 정부의 '틱톡'에 대한 압박 속에서 '틱톡 금지법' 유예가 선언되고 매각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AI 관련 대기업부터 유명 유튜버 '미스터비스트', 대표적인 억만장자인 일론 머스크 등이 인수전에 참여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미스터비스트'는 이미 자신의 SNS를 통해 "'틱톡'이 미국에서 금지되지 않도록 내가 '틱톡'을 살 것이다. 협상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또 중국 당국이 대안으로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일론 머스크에게 매각하는 방안도 염두에 두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이는 '틱톡'이 "완전한 허구"라고 일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바이트댄스가 '틱톡' 매각을 결정할 경우 시장 가치는 500억 달러(한화 약 71조 9300억 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미국 내 '틱톡' 이용자는 1억 7천만 명에 달한다.

 

그라비티 3D MMORPG '라그나로크 : Back to...
스마일게이트 '로스트아크' 부담 없이 즐기...
스마일게이트 '로드나인' 1주년 기념 '장비...
넷마블 MMORPG '레이븐2', '수영복 성의 2...
엔씨소프트 '리니지 리마스터', '투혼' 업...
kakao LINE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목록으로 스크랩하기
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숨기기
댓글 0 예비 베플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이 없습니다.
1

많이 본 뉴스

코난테크놀로지, 정부 AI에 100조원 투자 목표... '소버린 AI 개...
디랩스 게임즈 권준모 대표, 일본 ‘IVC 서밋 2025’ 패널 연사...
넥써쓰, 국내 1위 KODA와 가상자산 커스터디 계약 체결...
크라우드웍스, 네이버 지분투자, AI국책과제 공동 수행... 소버...
에이치브이엠, 이스라엘 이란 공격... 중동위기 고조에 '이스라...
뱅크웨어글로벌, 스테이블코인법안 美 상원 통과... 네이버 금융...
카이아, 일본블록체인협회(JBA) 정회원 합류… 일본 시장 내 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