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개막한 도쿄게임쇼 2012. 20, 21일 양일 간의 비지니스 데이를 거쳐 22일부터 퍼블릭 데이가 시작됐다.
도쿄게임쇼만큼 비지니스 데이와 퍼블릭 데이가 엄격히 지켜지는 게임쇼는 드물다. 입장권의 가격에서도 큰 차이가 나며 업계 관계자가 아닌 일반 게이머가 비지니스 데이에 도쿄게임쇼를 찾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퍼블릭데이의 인구밀도
그만큼 '인구밀도'에서도 큰 차이가 나게 된다. 비지니스 데이에는 그리 긴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대부분의 게임을 시연할 수 있으며 한산하다는 느낌까지 받을 정도로 사람에 치이는 일이 적다.
하지만 퍼블릭 데이에 도쿄게임쇼 회장에 들어가려면 '각오'가 필요하다. 들어갈 때는 마음대로지만 나갈 때는 아니기 때문이다.
멀리 코나미 부스가 보이지만 이미 홀 출구로 가는 흐름을 탔기에 저곳으론 갈 수 없다.
일단 인파에 쉽쓸리면 방향을 바꿀 수도, 중간에 빠져나올 수도 없다. 그 흐름의 끝까지 떠밀려 가게 된다. 2시간, 3시간 기다려야 하는 시연대에 줄을 설 경우도 마찬가지. 일단 줄을 서면 몇 시간이고 옴짝달싹 못 하고 대기해야 하는 상태가 된다.
개장 직후 바로 1시간의 대기열이 생긴 '토토리의 아틀리에' 시연대. 퍼블릭데이에 1시간 정도 대기하는 건 별 것 아니다.
22일에도 아침 일찍부터 대부분의 게임에 1시간 이상의 대기열이 생겼다. 화제를 모은 '몬스터헌터4'는 오전 중에 이날 하루치의 대기표 배포가 끝나버려 오후에 행사장을 찾은 게이머는 시연을 위해 줄을 설 수조차 없었다.
추첨을 통해 USB 등의 선물을 나눠준 미소녀 게임 전문 퍼블리셔 프로토타입 부스에도 추첨이 끝나자마자 다음 추첨을 위한 대기열이 즉시 가득 차는 등 대부분 부스가 인산인해를 이뤘다.
22일 오후 1시경 위메이드 부스 주변 상황
한편 도쿄게임쇼에 처음 출전한 위메이드 부스에도 게이머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처음 접하는 위메이드의 게임들에 도쿄게임쇼를 찾은 관람객들은 큰 관심을 보이며 열심히 시연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번 도쿄게임쇼 출품은 일본 공략에 나설 위메이드의 이름과 게임들을 알리는 데 톡톡히 한 몫 한 것으로 보인다. 도쿄로 유학와 매년 도쿄게임쇼를 찾고 있다는 이모씨는 "도쿄게임쇼에서 한국 게임사의 부스를 보게될 줄은 몰랐는데 뿌듯했다"며 "관람객들이 시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에 감동했고 한국 게임사들의 부스를 더 많이 볼 수 있게 되길 바란다"는 소감을 전했다.
| |
| |
| |
| |
|
관련뉴스 |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