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저소득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사업에 '잼잼400' 신규 품목으로 추가

등록일 2025년08월26일 10시04분 트위터로 보내기

 

경기도 저소득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지원사업에 태블릿 기반 디지털 재활 기기 '잼잼400'을 신규 품목으로 추가되면서,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과 재활 치료 기회를 동시에 확대될 전망이다.

 

2025년 시행 중인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 지원사업 중 경기도 거주지 대상인 도비 지원 품목에 '잼잼400'이 새롭게 포함됐다. 태블릿과 재활 운동 애플리케이션 사용권으로 구성된 디지털 보조기기 패키지로,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과 재활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경기도는 중위소득 80% 이하(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포함) 등록 장애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자립과 사회 참여를 위한 다양한 보조기기를 무상 지원하고 있다. 기존에는 휠체어, 보행 보조기, 시각·청각 보조기 등 물리적 기능 중심의 장비가 주를 이뤘으나, 디지털 환경에서의 재활과 사회참여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잼잼400이 지원 품목에 추가됐다.

 

잼잼400은 단순한 기기 제공을 넘어 소근육 재활 콘텐츠를 담은 전용 앱을 통해 일상에서 지속가능한 재활 운동을 지원한다. 특히 뇌병변,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등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환자를 위한 AI 인식 기반 움직임 개선 프로그램과 다양한 재활운동 유도 콘텐츠를 탑재해 재활이 필요한 장애인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디지털 접근성도 강화했다.

 

경기도 저소득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사업은 기기 교부 전 개인별 장애 특성과 생활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상담을 실시한다. 최종 선정된 대상자는 지정 업체로부터 제품을 전달받으며, 사용법 안내 서비스도 함께 제공받는다.

 

잼잼400 개발 관계자는 "장애인을 위한 진정한 디지털 포용은 기술 제공을 넘어 사용 편의성과 콘텐츠 접근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며 "이번 경기도 지원사업에 품목 포함 결정은 보조기기 지원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신청 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며 장애인복지법 제32조에 따라 등록된 저소득 장애인이다.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신분증, 소득 확인 자료,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필요시 보조기기 전문 상담을 통해 기기 적합성을 판단한다.

 

한편, 중위소득은 행정복지센터 방문을 통해 확인 가능하나 소득 확인을 위한 방문이나 신청서류 작성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카카오톡에서 '잼잼400'을 검색해 문의하거나 010-8105-1400으로 전화하면 무료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잼잼400' 품목 추가는 정보 접근성과 문화 향유, 사회 참여 확대라는 장애인 복지정책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조치로 평가된다. 생존 중심의 기초 복지를 넘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전환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향후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기기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취재기사 기획/특집 게임정보

화제의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