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 뉴스센터 > 취재

공정위, 온라인 및 모바일게임 표준약관 개정… 게임 서비스 종료 후 30일 이상 환불 고객 대응 수단 마련해야

2024년02월26일 14시40분
게임포커스 김성렬 기자 (azoth@gamefocus.co.kr)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게임 시장에서의 공정한 거래 질서 확산 및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온라인게임 표준약관, 모바일게임 표준약관을 개정했다.

 

이는 1월 30일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일곱 번째, 상생의 디지털, 국민권익 보호'에서 발표된 게임이용자 권익보호 대책의 일환이다.

 

공정위는 민생 토론회에서 표준약관 개정을 통해 ▲확률형 아이템 정보 표시의무 명시 ▲게임 서비스 종료 후 30일 이상 유료 아이템에 대한 환불 전담 창구 등 고객 대응 수단 운영 추진 ▲해외 게임 사업자에 대한 국내법 집행을 용이하게 하는 국내 대리인 지정제 도입 ▲게임 이용자가 별도의 소송을 제기하지 않아도 게임사로부터 직접 보상 받을 수 있는 동의의결제 도입을 추진하기로 발표한 바 있다.

 

 

이번에 개정된 표준약관에는 확률형 아이템 표시의무 명시, 게임서비스 종료 후 30일 이상의 환불 전담 창구 등 고객 대응 수단 운영에 관한 내용이 담겼다.

 

공정위는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게임사의 확률 조작, 확률 정보 미공개로 인한 이용자 피해가 큰 문제라고 지적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확률형 아이템 관련 정보를 게임사가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표준약관을 개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게임 사업자가 게임물 내에 사용되는 확률형 아이템의 정보를 의무 표시하도록 하는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 규정을 반영한 것이다.

 

 

이 외에도 공정위는 게임 서비스 종료 후 정당한 환불 요청권 행사를 시도조차 할 수 없는 소위 '먹튀' 문제가 지속 제기되었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게임사가 서비스 종료 이후 최소 30일 이상의 기간을 정해 유료 아이템 환불 절차 이행을 위한 전담 창구 등 고객 대응 수단을 마련해 운영하도록 표준약관을 개정했다.

 

공정위는 "이번 개정으로 게임 이용자들이 게임 내 확률형 아이템 정보를 투명하게 확인하고 공정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게임산업 내 대표적 불공정 사례 였던 확률 정보 조작 등이 개선되고, 이른바 ‘먹튀 게임’으로 인하여 정당 하게 환불 받을 권리를 행사하지 못하는 게임이용자들의 피해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개정된 표준약관은 공정위의 홈페이지에 게시되며, 공정위는 이를 사업자 및 소비자단체 등에 통보해 사용을 적극 권장할 계획이다.

 

또한 공정위는 국내 대리인 지정제도 및 동의의결제를 도입하기 위해 3월 중 전자상거래법 입법예고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 "게임산업, 우리나라에 매우...
라이온하트 스튜디오 '발할라 서바이벌' 악...
넥슨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신규 시즌 ...
카카오게임즈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신...
팀 코리아 승리의 주역에서 선의의 라이벌...
kakao LINE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목록으로 스크랩하기
로그인 한 사용자만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숨기기
댓글 0 예비 베플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이 없습니다.
1

많이 본 뉴스

우리기술투자, 두나무 송치형 네이버파이낸셜 최대주주 등극 가...
네오셈, 엔비디아 인텔에 50억달러 투자 차세대칩 공동 개발... ...
다날, 네이버 업비트 인수로 스테이블코인 본격화... 결제시스템...
어보브반도체, 삼성전자 SiC 전력반도체 상용화 시동... 삼성전...
오버테이크(Overtake) 'TAKE' 토큰 글로벌 동시 상장으로 유통 ...
풀무원, '금값' 김값 가격 폭등에 정부 김 비축 제도 추진... 김...
한라캐스트, 산업용 로봇주 상승... 글로벌 AI 자동차기업에 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