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비티가 자사를 대표하는 '라그나로크' IP 신작 '라그나로크 : Back to Glory' 미디어 간담회를 열고 국내 출시일을 4월 17일로 확정 발표했다.
그라비티는 3일 여의도 FKI 타워에서 '라그나로크' IP 신작 '라그나로크 : Back to Glory' 미디어 간담회를 개최했다. '라그나로크' IP 신작 '라그나로크 : Back to Glory'는 '라그나로크' IP를 활용해 개발된 3D MMORPG로 로그아웃 후에도 48시간 동안 경험치와 재화 획득이 가능한 자동 사냥 기능이 탑재된 방치형 스타일 신작이다.
이 게임은 동남아시아와 대만, 마카오, 홍콩 등에 '라그나로크 리버스'라는 제목으로 선행 출시되어 좋은 성적을 낸 타이틀로, 게임을 다듬어 국내 시장에 정식 도전하게 됐다.
미디어 간담회에 참석해 게임 소개를 위해 무대에 선 그라비티 정기동 사업PM은 무엇보다 '라그나로크 : Back to Glory'가 기존 '라그나로크' 타이틀들과 차별화되는 부분이 많다는 점을 강조했다.
세로 인터페이스와 가로 인터페이스 최적화를 동시에 진행해 버튼 하나로 인터페이스를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칭 인터페이스, 자동 전투와 반자동 전투는 물론 수동 전투까지 지원하는 전투 시스템, 자동 사냥을 통해 틈틈이 접속만 해도 육성 자원을 충분히 획득할 수 있는 게임 설계 등이 그가 강조한 차별점들.
IP를 활용한 작품답게 '라그나로크'의 요소도 잘 받아들여, 노비스로 시작해 '라그나로크'의 고유 직업군으로 전직해 가는 시스템이나 원작의 향수를 느낄 수 있는 그래픽과 탐험 요소도 강조됐다.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국내 서버와 동남아, 대만, 마카오, 홍콩 지역까지 망라하는 통합 거래소 시스템. 정기동 사업PM은 "글로벌 자유거래 시스템을 통해 한국 유저들이 동남아, 홍콩, 마카오, 대만 유저들과 거래소를 통해 자유로운 거래를 할 수 있다"며 "아이템 수급이 쉬워져 거대한 게임 생태계가 구현될 것이며, 유료 패키지가 아니라 거래소를 통해 장비 획득이 이뤄질 것"이라 전망했다.
이어서 "물질적 이익, 손해가 오롯이 모험가에게 달려 있다. 그를 통해 MMORPG 본연의 재미와 아이템 파밍의 재미를 함께 제공할 것"이라며 "물품이 시장의 수요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고 가치가 정해지게 된다. 운영에서는 시장 모니터링을 통해 비정상 로그에 즉각 대처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갖춘 상태"라고 강조했다.
그라비티에서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대량 생산되거나 물량 공급이 커질 때에는 랜덤 퀘스트를 늘리거나 줄이는 식으로 변동에 대응해 쾌적한 생태계가 유지하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거래소와 함께 '경매장' 시스템도 탑재될 예정으로, 유저들은 정해진 가격이 아닌 경매를 통해 획득한 희귀 아이템을 판매할 수 있으며, 경매를 통해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아이템을 획득하는 기회도 가질 수 있을 전망이다.
한편 '라그나로크 : Back to Glory' 론칭 시점에는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3차 직업까지가 포함될 예정이며, 전승 직업은 추후 업데이트로 추가될 전망이다.
(왼쪽부터) 정주희 사업 PM, 정기동 사업 PM, 신지환 운영 담당
'라그나로크 : Back to Glory' 운영 실무를 맡을 그라비티 신지환 운영 담당은 "3차 직업은 들어갔고 전승 직업은 아직 없는 상태인데 라운지를 통해 가이드 라인을 올릴 예정"이라며 "그라비티가 자신있게 준비한 신작을 재미있게 잘 즐겨주셨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정기동 사업PM은 "라그나로크 시리즈가 많이 출시됐는데 저희만의 차별점, 특색을 살리려 노력했고 그런 과정에서 버티컬 모드나 글로벌 통합거래소 등을 준비했다"며 "방치모드를 MMORPG에 접목해 기존 라그나로크에 추억을 가진 분들이 방치모드로 편리하게 MMORPG를 즐길 수 있게 노력했으니 많은 관심과 사전예약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 |
| |
| |
| |
|
관련뉴스 |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