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만화영상진흥원(원장 백종훈)이 주관하는 ‘2025 웹툰 트렌드 콘퍼런스’가 9월 24일(수) 개막한 가운데,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웹툰 콘텐츠 산업에 대한 높은 관심과 열기가 이어졌다.
‘웹툰의 세계화(Webtoons Go Global)’을 주제로 한 이번 콘퍼런스의 기조발제를 맡은 라이너 영화 평론가는 “90년대만 하더라도 일본 만화를 부러워했던 우리(한국)가 이제는 웹툰을 중심으로 콘텐츠 영역을 넓히며 세계시장을 공략하고 있다”며, 특히 “만화의 실사화에 있어서는 한국이 일본을 능가하는 성과를 내고 있다”며 서문을 열었다.
이어 주제발제에 나선 장정숙 레드아이스 스튜디오 대표는 <전지적 독자 시점>을 중심으로 레드아이스 스튜디오의 웹툰 글로벌 IP 확장 전략에 대한 이야기를 전개했다. 특히 ‘케데헌’의 경우 완성도 높은 이야기의 힘이 주는 가치를 증명한 사례라고 견해를 밝히면서 다양한 이야기가 창작되는 웹툰은 ‘제3의 한류 가능성’을 보여주며 콘텐츠 산업을 견인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해외연사로 참여한 파리스 알루슈드(Faris Alrushoud) 망가 아라비아(MANGA ARABIA) 부대표는 중동 만화 콘텐츠 산업의 허브로서의 사우디 아라비아의 부상을 피력하며, 특히 OTT 수요 증가와 함께 웹툰 기반 IP의 영상화가 가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남미를 대표하여 연사로 나선 브라질의 안나 파울라 리베이로(Ana Paula Ribeiro) 인피니툰(Infinitoon) 대표는 브라질은 빠른 인터넷 성장과 함께 젊은층이 콘텐츠 소비의 중심층으로 성장하는 젊은 국가라며, 남미 시장은 로컬의 창의성과 글로벌 포맷이 공존하는 다양성 넘치는 활기찬 시장으로 소개하며 한국과의 글로벌 파트너쉽 가능성에 기대를 내비쳤다.
이어 라이너 평론가를 모더레이터로 이어진 패널 토론에선, 국가별 웹툰 소비자 특성, OTT 시장의 부상이 웹툰 콘텐츠 업계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 협업에 대한 평가와 전망 등 폭넓은 주제로 다양한 토론이 이어졌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백종훈 원장은 “그간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은 웹툰 산업의 변화와 추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한발 앞서 미래를 전망하고 그에 대비하는 ‘전지적 중재자’, ‘전지적 촉매자’로서의 역할”을 해왔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글로벌 논의의 장을 만들어 K-웹툰 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